본문 바로가기
어종별 수산기사

3월까지의 국가별 수입동향

by 유니언포씨 2010. 5. 4.

 

 

2010년 3월말까지 수산물 수입국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을 포함한 69개국으로 중국, 러시아, 일본, 북한, 베트남의 상위 10개국에 수입한 수산물 수입물량이 234,836톤으로 전체 수입량인 258,968톤의 9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물량인 증가한 국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북한과 베트남 등이며, 감소한 국가는 대만, 노르웨이와 페루 등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총 2010년에 85,376톤이 수입되어 기 수입물량인 69,938톤과 비교 2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증가 수입어종은 냉동 아귀(3,000톤), 냉동참조기(5,000톤), 냉동낙지(1,800톤), 냉동갈치(500톤), 냉동명태포(600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의 경우 64,259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비교 약 49%의 증가폭을 보였으며, 주요 증가 수입어종은 냉동 명태로 3월까지 52,806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의 34,603톤과 비교 약 52%의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수입물량은 27,321톤으로 전년동기 20,566톤 대비 32% 증가하였으며, 주요 증가어종은 활우렁쉥이, 냉장명태, 냉동명태, 냉동꽁치 등이 있고, 북한의 경우, 수입물량은 20,544톤으로 전년동기 19,393톤 대비 5% 증가한 실적이며, 주요 증가어종은 활바지락, 활가리비, 활백합(아담스백합), 활백합(비너스백합) 등이다.

베트남의 경우, 수입물량은 11,011톤으로 전년동기 8,908톤 대비 23% 증가한 실적이며, 주요 증가 어종은, 냉동낙지, 냉동새우살(흰다리새우), 냉동주꾸미, 마른멸치 등이 증가하였다.

반대로, 수입물량이 감소한 대만의 경우, 수입물량은 10,478 톤으로서 전년동기 20,066 톤 대비 47% 감소하였으며, 주요 감소어종은 냉동고등어, 냉동꽁치, 냉동상어(흑기흉상어)등이 있고, 페루의 경우, 수입물량은 2,152톤으로서 전년동기 3,495톤 대비 38% 감소하였으며, 주요 감소어종은 냉동오징어(다리), 냉동오징어(동체), 냉동오징어(동체,자숙), 냉동오징어(지느러미) 등이 있다.

 

 

 

** 보다 많은 자료는 http://www.forsea.co.kr

** 비공개 설정된 블로그나 카페는 스크랩하지 마세요.

 , 공개된 블로그나 카페는 출처 기재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