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y76 2024년 12월 갈치 수입량 15% 감소, 누계 14% 줄어 2024년 12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갈치는 993톤으로, 2023년 동기의 1,169톤 대비 15% 감소했다. 1월부터 12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12,523톤으로, 전년 동기 14,511톤보다 14% 줄어들었으며 이는 전체 수입량 901,242톤 중 1.4%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12월까지 냉동 갈치는 오만에서 2,883톤(23%), 세네갈에서 2,669톤(21%), 남아공에서 1,918톤, 모로코에서 1,371톤, 에콰도르에서 844톤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중국이 USD 5.71/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오만은 USD 3.69/kg, 세네갈 USD 3.78/kg, 남아공이 USD 2.06/kg으로 형성되었다. 12월 한 달간 냉동 갈치의 수입금액은 USD 312.. 2025. 1. 31. 냉동 문어 수입량 23% 감소, 12월 수입량은 11% 증가 2024년 12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문어 수입량은 401톤으로, 2023년 같은 기간의 362톤 대비 11% 증가했다. 그러나 1월부터 12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2,883톤으로, 전년 동기 3,728톤보다 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901,242톤 중 0.32%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12월까지 냉동 문어는 모리타니에서 전체 물량의 80.6%인 2,324톤이 수입되었으며, 중국 189톤, 베네수엘라 120톤, 필리핀 94톤, 칠레 36톤 등이 뒤를 이었다. 국가별 평균 수입단가는 모리타니산이 USD 9.78/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산은 USD 6.29/kg, 인도네시아산이 USD 5.63/kg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12월 한 달간 .. 2025. 1. 31. 12월까지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 7% 감소 2024년 12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태국산 수산물의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12월 한 달간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은 887톤으로 전년 동기의 948톤 대비 6% 줄었다. 2024년 누적 수입량은 12,063톤으로, 2023년의 12,966톤에 비해 7% 감소했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901,242톤의 1%에 해당한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냉동 주꾸미는 3,610톤이 수입되어 전년 3,738톤보다 3% 줄었고, 염장 해파리는 3,172톤으로 전년 3,253톤 대비 2% 감소했다. 냉동 흰다리새우살은 1,512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1,426톤보다 6% 증가했으나, 냉동 낙지는 702톤으로 전년 917톤 대비 23% 급감했다. 냉동 갑오징어도 684톤으.. 2025. 1. 23. 칠레산 수산물 12월 수입량 87% 증가 2024년 12월, 국내로 수입된 칠레산 수산물은 2,227톤으로 2023년 동기 1,193톤 대비 87% 증가하였다. 그러나 2024년 누적 수입량은 27,332톤으로 전년 동기의 29,275톤 대비 7% 감소하였으며, 이는 전체 국가 수산물 수입량 901,242톤의 3%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수입 품목은 다음과 같다:냉동 오징어 지느러미: 8,831톤으로 전년 5,662톤 대비 110% 증가냉동 은연어: 7,364톤으로 전년 5,735톤 대비 9% 증가냉동 오징어 동체: 6,961톤으로 전년 12,169톤 대비 28% 감소냉동 대서양연어: 830톤으로 전년 1,002톤 대비 25% 감소냉동 자숙 홍합 살: 776톤으로 전년 945톤 대비 22% 감소 2024년 12월 칠레산 수산물 수입 금액은.. 2025. 1. 16. 2024년 냉동 오징어 동체 수입량, 전년 대비 35% 감소 2024년 12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냉동 오징어 동체의 누적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수입량은 총 21,340톤으로, 2023년 동기의 33,001톤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국가의 냉동 오징어 동체 수입량 901,242톤 중 2%에 해당하는 수치다. 2024년 12월 한 달 동안 수입된 냉동 오징어 동체는 2,082톤으로, 2023년 동기의 1,589톤 대비 31% 증가했다. 그러나 연간 누적 수입량은 2023년보다 크게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주요 수입국 및 단가 현황2024년 12월까지 냉동 오징어 동체는 주로 중국(61%), 칠레(33%), 페루(3%) 등의 국가에서 수입되었다.중국: 12,990톤, 단가 USD 2.73/kg칠레: 6,961톤,.. 2025. 1. 15. 2024년 12월 노르웨이산 대서양 연어 수입량, 전년 대비 265% 급증 2024년 12월 국내로 수입된 노르웨이산 수산물은 총 15,342톤으로, 2023년 동기 수입량 14,482톤에 비해 6% 증가했다. 2024년 누적 수입량은 78,898톤으로 전년 동기 78,359톤보다 1% 늘어나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901,242톤 중 약 9%를 차지하고 있다. 노르웨이산 수산물 중 냉장 대서양 연어의 수입량은 4,363톤으로, 전년 동기 1,196톤 대비 무려 265% 증가하며 가장 큰 성장률을 보였다. 반면, 주요 품목인 냉동 고등어는 38,204톤이 수입되며 전년 동기 41,475톤 대비 8% 감소했다. 냉장 연어는 15,854톤으로 13%, 냉장 연어 필렛은 4,638톤으로 2%, 냉동 고등어 필렛은 4,538톤으로 25%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월 .. 2025. 1. 13. 2024년 12월 냉동 아귀 수입량, 전년 대비 16% 감소 2024년 12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아귀는 총 2,029톤으로, 이는 2023년 동기 수입량인 2,410톤에 비해 16% 감소한 수치다. 반면, 2024년 누적 수입량은 27,155톤으로 전년 동기 수입량인 25,838톤보다 5% 증가하며 긍정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냉동 아귀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901,242톤 중 약 3%를 차지하며 중요한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2024년 12월까지 냉동 아귀 수입량 중 98%에 달하는 26,682톤이 중국에서 들어왔으며, 그 외 미국(319톤), 브라질(122톤), 남아공(32톤)에서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미국이 USD 4.50/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은 USD 2.05/kg, 브라질은 USD 3.14/kg, 남아공은 USD 3.16/kg으로 집.. 2025. 1. 13. 베트남산 수산물, 12월 수입량 14% 증가 2024년 12월 동안 국내로 수입된 베트남산 수산물의 수입량은 6,484톤으로, 2023년 동기의 5,700톤에 비해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누적 수입량은 52,276톤으로, 전년 동기 53,580톤 대비 11% 증가하며 전체 국가의 수입량 901,242톤 중 **7%**를 차지했다. 품목별 수입 현황냉동 주꾸미: 23,584톤 수입 (전년 동기 20,684톤 대비 14% 증가)염장 젓새우: 12,562톤 수입 (전년 10,373톤 대비 21% 증가)냉동 낙지: 5,623톤 수입 (전년 5,140톤 대비 9% 증가)냉동 갑오징어: 2,671톤 수입 (전년 2,393톤 대비 12% 증가) 수입금액 및 평균 단가 변화2024년 12월 중 베트남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USD 3,5.. 2025. 1. 10. 주꾸미 수입량, 12월 중 32% 증가 2024년 12월 한 달 동안 수입된 냉동 주꾸미는 3,219톤으로, 2023년 같은 기간의 2,442톤에 비해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누적 수입량은 28,531톤으로, 전년 동기의 25,819톤보다 11% 증가하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 901,242톤의 **3.2%**를 차지했다. 12월까지 수입된 냉동 주꾸미는 **베트남산이 83%**인 23,584톤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태국산 3,610톤, 인도네시아산 804톤, 중국산 409톤이 뒤를 이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태국이 USD 7.25/kg로 가장 높았고, 베트남 USD 6.11/kg, 중국 USD 4.56/kg으로 가장 낮았다. 2024년 12월 냉동 주꾸미의 수입금액은 1,967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1,555만 .. 2025. 1. 10.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5% 증가… 품목별 희비 엇갈려 2024년 12월 국내로 수입된 중국산 수산물은 총 25,533톤으로, 2023년 동기 수입량인 25,274톤 대비 1% 증가했다. 올해 누적 수입량은 222,424톤으로 전년의 213,308톤에 비해 5% 늘어나며 전체 국가 수입량 901,242톤의 약 25%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냉동 아귀가 26,682톤으로 전년 동기 25,110톤 대비 6% 증가해 가장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활 바지락은 18,605톤으로 전년 15,046톤 대비 24% 증가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냉동 오징어는 18,389톤으로 전년 24,156톤 대비 24% 감소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냉동 낙지도 16,509톤으로 전년 17,383톤 대비 5% 감소했다. 활 돌비늘백합은 15,860톤으로 전년의 14,051톤 .. 2025. 1. 8. 12월 냉동 명태 수입량 및 수입금액 급감…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 2024년 12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명태는 총 6,234톤으로, 2023년 동기 수입량인 10,180톤 대비 무려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해 누적 수입량도 139,247톤으로 전년의 140,077톤에 비해 1% 줄어들며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2024년 전체 수산물 수입량 901,242톤 중 약 16%를 차지하는 수치다. 수입국별로는 러시아가 137,247톤으로 전체의 99%를 차지하며 최대 공급국으로 자리 잡았다. 이어 미국에서 1,362톤, 중국에서 127톤이 수입됐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중국이 USD 1.61/kg으로 가장 높았으며, 미국은 USD 1.27/kg, 러시아는 USD 0.98/kg으로 나타났다. 12월 한 달간 냉동 명태의 수입금액은 USD 634만 달러로.. 2025. 1. 8. 2024년 12월 중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27% 감소 2024년 12월 국내로 수입된 러시아산 수산물은 14,274톤으로 2023년 동기의 19,588톤 대비 27% 감소하였다. 누적 수입량은 250,899톤으로 전년 동기의 288,047톤보다 13% 줄어들었으며 이는 전체 국가의 수입량 901,242톤의 28%를 차지한다. 주요 러시아산 수입 품목냉동 명태: 137,758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135,242톤 대비 2% 증가하였다.냉동 명태알: 15,746톤이 수입되어 전년 14,825톤 대비 6% 증가하였다.냉동 각시가자미: 13,713톤이 수입되어 전년 12,891톤 대비 6% 증가하였다.냉동 청어: 12,328톤이 수입되어 전년 23,018톤 대비 46% 감소하였다.냉동 명태 곤이: 9,668톤이 수입되어 전년 9,479톤 대비 2% 증가하였.. 2025. 1. 7. 12월까지 냉동 고등어 수입량, 전년 대비 14% 감소 2024년 12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냉동 고등어는 11,708톤으로, 2023년 동월 수입량인 11,367톤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2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40,928톤으로, 전년 동기 47,787톤에 비해 14% 감소하며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901,242톤의 약 4.5%를 차지하는 수치다. 2024년 12월까지 냉동 고등어의 주요 수입국은 노르웨이로, 전체 수입량의 93%에 해당하는 38,204톤이 수입되었다. 그 외 중국에서 1,569톤(4%), 네덜란드 848톤, 독일 95톤 등이 뒤를 이었다. 국가별 수입 단가는 노르웨이가 USD 2.44/kg, 중국 USD 2.28/kg, 네덜란드 USD 2.16/kg으로 형성되었다. 12월 한 달 .. 2025. 1. 7. 2024년 11월 냉동 갈치 수입량 32% 감소, 누적 수입량 14% 줄어 2024년 11월 한 달간 국내로 수입된 냉동 갈치의 수입량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11월 냉동 갈치 수입량은 1,260톤으로, 2023년 같은 기간의 1,866톤에 비해 32% 줄어들었다.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11,530톤으로, 2023년 동기의 13,342톤에 비해 14% 감소했다. 냉동 갈치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 중 약 1.4%를 차지했다. 11월까지 냉동 갈치의 주요 수입국은 오만(2,574톤, 24%)과 중국(2,572톤, 22%)이었으며, 그 뒤를 남아프리카공화국(1,666톤), 모로코(1,206톤), 에콰도르(844톤)가 이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중국이 USD 5.71/kg으로 가장 높았고, 오만이 USD 3.69.. 2024. 12. 31. 11월까지 냉동 대구 수입량 전년 대비 48% 감소 2024년 11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냉동 대구의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11월 한 달 동안 냉동 대구 수입량은 647톤으로, 2023년 같은 기간 845톤에 비해 23% 줄었다. 누적 수입량은 5,897톤으로 전년 동기 11,414톤보다 48% 감소하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 중 0.72%를 차지했다. 수입된 냉동 대구의 대부분은 러시아산으로, 전체의 96%에 해당하는 5,652톤이 러시아에서 들어왔다. 이외에도 미국 126톤, 캐나다 99톤, 중국 20톤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러시아가 USD 3.08/kg, 미국 USD 2.74/kg, 중국 USD 2.60/kg, 캐나다 USD 1.87/kg으로 나타났으며, 캐나다산의 단가가 가장 낮았다. 11월 .. 2024. 12. 30. 11월까지 냉장 연어 수입량 14% 감소 2024년 11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냉장 연어의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11월 한 달 동안 수입된 냉장 연어는 1,227톤으로, 2023년 같은 기간의 1,639톤 대비 25% 줄어들었다. 누적 수입량은 14,715톤으로 전년 동기 17,134톤보다 14% 감소했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 중 1.81%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수입 냉장 연어의 대부분은 노르웨이에서 들어왔으며, 98%에 해당하는 14,471톤이 노르웨이산이다. 이 외에도 캐나다 85톤, 호주 69톤, 칠레 57톤, 영국 33톤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노르웨이가 USD 12.87/kg으로 가장 높았고, 캐나다는 USD 12.29/kg, 호주는 USD 10.99/kg로 나타났다. 11.. 2024. 12. 30. 11월 냉동 흰다리새우살 수입량 105% 증가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흰다리새우살의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한 달 동안 수입된 냉동 흰다리새우살은 330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161톤 대비 105% 증가한 수치이다. 그러나 2024년 누적 수입량은 3,017톤으로, 2023년의 3,455톤 대비 13% 감소하였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의 약 0.4%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11월까지의 냉동 흰다리새우살 수입은 태국에서 44%인 1,335톤이 수입되었으며, 베트남 974톤, 인도 579톤, 인도네시아 76톤이 각각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태국이 11.73달러/kg으로 가장 높고, 인도가 8.88달러/kg, 베트남이 8.36달러/kg, 인도네시아가 6.26달러/kg으로 .. 2024. 12. 27. 냉동 절단 꽃게, 11월 수입량 전년 대비 33% 증가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절단 꽃게의 수입량이 전년 동월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한 달 동안 수입된 냉동 절단 꽃게는 1,354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1,015톤 대비 33% 증가한 수치이다. 그러나 2024년 11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9,355톤으로, 2023년 동기의 9,589톤보다 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의 약 1%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이번 11월까지 수입된 냉동 절단 꽃게는 전량 중국에서 들어왔으며, 전년에는 중국 외에도 바레인에서 16톤이 수입된 바 있다. 수입금액 측면에서도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11월 한 달간 수입금액은 342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297만 달러보다 15% 증가했다. 하지만 2024.. 2024. 12. 2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