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별 수산기사1202

캐나다산 수산물 수입량 20% 감소… 바다가재 수입 감소 두드러져 올해 2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캐나다산 수산물이 전년 대비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2월까지 캐나다산 수산물 수입량은 548톤으로 집계되며, 이는 2024년 동기간 684톤보다 20% 줄어든 수치다. 2월 한 달간의 수입량은 271톤으로, 전년 동기의 278톤보다 3% 감소했다. 이는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수산물 총량 152,793톤의 0.4%를 차지하는 규모다.   특히 캐나다산 주요 수입 어종인 활 바다가재의 감소세가 뚜렷했다. 2025년 2월까지 활 바다가재 수입량은 118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 159톤보다 26% 줄어들었다. 반면 냉동 자숙 바다가재는 18톤이 수입되며 전년 23톤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냉동 자숙 아메리카 바다가재는 14톤이 수입되었다.   .. 2025. 4. 1.
2025년 2월 대만 수산물 수입량 53% 감소 2025년 2월 중 국내로 수입된 대만산 수산물은 683톤으로, 2024년 동기의 수입량인 669톤 대비 2% 증가했다. 하지만 2025년 1~2월 대만산 수입량은 총 1,448톤으로, 전년 동기 3,073톤 대비 53% 감소했다. 이는 전체 국가의 수입량 152,793톤 중 1%에 해당한다.   제한 항목별 수입량 변화를 살펴보면, 품목별 차이가 두드러진다. 냉동 황새치는 395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346톤) 대비 14% 증가했다. 반면, 냉동 오징어는 214톤이 수입되어 전년 669톤 대비 68% 감소했고, 냉동 꽁치는 205톤이 수입되어 전년 1,653톤 대비 88% 감소했다. 냉동 청상아리는 110톤이 수입되어 전년(99톤) 대비 11% 증가했다.   2025년 2월 대만 수산물의 수입 금액은.. 2025. 3. 26.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증가… 2월 누적 4,395톤 기록 2025년 2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일본산 수산물은 총 2,099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1,997톤 대비 5% 증가한 수치다. 또한, 2월 누적 수입량은 4,395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의 4,308톤보다 2% 증가하며 전체 국가 수입량 152,793톤 중 3%를 차지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활 방어는 1,715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1,709톤과 비교해 보합세를 유지했다. 활 큰가리비는 406톤이 수입되었으며, 활 참돔은 501톤이 수입되어 전년 412톤 대비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냉장 명태는 326톤이 수입되어 지난해 같은 기간 344톤 대비 5% 감소했다.   2025년 2월 한 달간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1,468만 달러(USD)로, 전년 동기의 1,20.. 2025. 3. 25.
2월 베트남산 낙지 수입량 29% 증가… 주꾸미, 갑오징어는 감소 2025년 2월 국내로 수입된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은 3,612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의 3,637톤 대비 1% 감소했다. 또한, 올해 누적 수입량은 7,664톤으로 전년 동기 8,133톤보다 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국가의 수입량인 152,793톤 중 5%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냉동 주꾸미는 3,397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3,713톤 대비 9% 감소했다. 반면, 냉동 낙지는 995톤이 수입되어 2024년 2월의 772톤보다 29% 증가했다. 염장 젓새우는 713톤이 수입되며 전년 946톤 대비 25% 감소했고, 냉동 갑오징어도 394톤이 수입되며 전년 동기의 475톤보다 17% 줄어들었다.   수입 금액 또한 감소세를 보였다. 2025년 2월 베트남.. 2025. 3. 20.
2025년 2월 러시아 수산물 수입량 10% 감소 2025년 2월 중 대한민국에 수입된 러시아산 수산물은 25,668톤으로, 2024년 동기의 28,501톤 대비 10% 감소했다. 누적 수입량은 42,930톤으로 전년 동기(44,502톤) 대비 4%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국가의 수입량(152,793톤) 중 28%를 차지하는 수치다.   내용별 수입량은 다음과 같다.냉동 명태: 24,257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24,715톤) 대비 2% 감소냉동 청어: 4,137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7,842톤) 대비 47% 감소냉동 정어리: 2,420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68톤) 대비 3,459% 증가냉동 각시가자미: 2,165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1,853톤) 대비 17% 증가   2025년 2월 중 러시아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USD 6,843만 달러.. 2025. 3. 19.
영국산 수산물 수입량 401% 증가… 냉동 고등어·골뱅이살 등 급증 올해 2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영국산 수산물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2월 한 달간 수입된 영국산 수산물은 627톤으로, 전년 동기의 40톤 대비 1,468% 증가했다. 2025년 2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856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171톤) 대비 401% 늘어났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152,793톤)의 0.6%를 차지하는 규모다. 특히 냉동 고등어는 375톤이 수입되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 수입된 물량이 전무했던 것과 비교하면 큰 증가세를 보였다.   이외에도 주요 수입 품목은 다음과 같다.냉동 자숙 골뱅이 살: 315톤 수입 (전년 동기 145톤 대비 117% 증가)냉동 자숙 유럽 물레고둥: 82톤 수입 (전년 동기 수입량 없음)냉동 청어 .. 2025. 3. 18.
2월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 63% 증가… 냉동 고등어·연어 필렛 강세 올해 2월 국내로 수입된 노르웨이산 수산물이 전년 대비 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2월 중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은 10,107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6,207톤) 대비 63% 증가했다. 1~2월 누적 수입량은 25,069톤으로, 전년 동기(17,674톤)보다 42% 늘어나며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노르웨이산 수산물은 전체 수입 수산물 152,793톤 중 16%를 차지하며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품목별 수입 동향냉동 고등어: 18,314톤 수입, 전년 동기(12,245톤) 대비 50% 증가냉장 연어: 2,069톤 수입, 전년 동기(2,660톤) 대비 22% 감소냉동 고등어 필렛: 1,298톤 수입, 전년 동기(731톤) 대비 78% 증가냉장 대서양연어: 1,090톤 수입, .. 2025. 3. 11.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2월 중 19% 감소 2025년 2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중국산 수산물은 18,253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의 15,379톤 대비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40,455톤으로, 전년 동기의 41,296톤보다 2%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수산물 총량 152,793톤의 2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세부 품목별로는 냉동 아귀가 8,981톤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9,556톤 대비 6% 감소하였다. 반면, 활 바지락은 3,956톤으로 전년 3,856톤 대비 3% 증가하였고, 냉동 부세는 2,679톤으로 전년 2,654톤보다 1% 증가하였다. 또한, 활 돌비늘백합은 2,621톤이 수입되어 전년 2,393톤 대비 10% 늘었으며, 냉동 절단 꽃게는 2,256톤으로 전년 1,88.. 2025. 3. 10.
EU,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 제재로 재고 부족 사태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유럽 내 수산물 제품의 심각한 부족 사태가 우려되고 있으며 특히 독일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조치로 인해 유럽에서 인기 있는 수산물 가공 제품, 특히 피쉬스틱(fish sticks)과 같은 제품의 공급 부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번 논의는 EU가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를 고려하는 과정에서 제기되었는데 EU 회원국 중에서도 독일은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가진 국가이자 러시아산 수산물의 최대 수입국으로서,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러시아산 수산물 수입 금지, 독일에 직격탄EU는 2024년 8월부터 러시아산 어류 수입 제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 왔.. 2025. 3. 7.
일본, 심각한 살오징어 자원량에 TAC 대폭 삭감 일본 어업정책위원회는 최근 태평양 살오징어의 TAC에 대하여 결정을 하였다.2025년 일본의 오징어 조업할당량은 2024년 대비 76% 삭감되어 역대 최저치인 19,200톤으로 조정되었으며 이는 일본 오징어 자원의 지속적인 감소를 반영한 조치로 회의에 참석한 오징어업계 및 전문가들은 이 같은 조치를 만장일치로 지지했다.급감하는 일본 오징어 자원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일본의 연간 살오징어 어획량은 30만 톤을 초과하였지만 2018년 이후 5만 톤 이하로 급감하며 자원 고갈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한 상태이다.이에 일본 정부는 이번 조업할당량 대폭 축소를 통하여 오징어 자원의 보호와 회복을 도모하고자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024년 일본의 총 살오징어 생산량은 13,000톤으로, 2023년의 12,000.. 2025. 3. 4.
1월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 21% 감소… 냉동 주꾸미는 소폭 증가 올해 1월 국내로 들어온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월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은 709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의 893톤보다 184톤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5,350톤의 약 1%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냉동 주꾸미는 250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247톤 대비 1% 증가하며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냉동 흰다리새우살도 154톤이 수입되며 전년(113톤) 대비 36% 증가했다. 반면, 냉동 낙지는 74톤이 수입되어 전년 91톤보다 19% 감소하였고, 냉동 갑오징어는 49톤이 수입되며 전년 83톤 대비 41% 감소하는 등 주요 품목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2025년 1월 태국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576만 달.. 2025. 2. 27.
2025년 1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7% 감소 2025년 1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일본산 수산물은 총 2,301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2,468톤 대비 7% 감소한 수치다.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량은 전체 국가 수입량 75,350톤 중 3%를 차지하고 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활 방어는 1,036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1,165톤 대비 11% 감소했다. 반면 활 큰 가리비는 341톤이 수입되었으며, 활 참돔은 169톤으로 전년 동기 135톤 대비 25% 증가했다. 활 멍게 또한 160톤이 수입되며 전년 98톤 대비 63%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냉장 명태는 126톤이 수입되었으나, 이는 전년 동기 192톤 대비 34% 감소한 수준이다.   2025년 1월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1,533만 달러(USD)로, 전년 동기 1,483만.. 2025. 2. 26.
1월 캐나다산 수산물 수입량 33% 감소… 활 바다가재·냉동 자숙 바다가재 희비 엇갈려 올해 1월 국내로 수입된 캐나다산 수산물이 274톤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409톤) 대비 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75,350톤) 중 0.4%에 해당하는 규모다.   캐나다산 주요 수입 어종 중 활 바다가재는 118톤이 들어와 전년 동기(159톤) 대비 26% 감소했다. 반면, 냉동 자숙 바다가재는 18톤이 수입되어 전년(23톤)보다 30% 증가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냉동 자숙 아메리카 바다가재는 14톤이 국내에 유입됐다.  1월 한 달간 캐나다산 수산물의 총 수입금액은 577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852만 달러)보다 32%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평균 수입단가는 USD 21.08/kg으로 전년(USD 20.84/kg) 대비 1% 상승한 것으로 나.. 2025. 2. 25.
미국산 수산물 수입량 41% 감소… 1월 1,650톤 수입 올해 1월 국내로 수입된 미국산 수산물은 1,650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수입량인 2,783톤 대비 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국가의 수입량 75,350톤 중 2%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미국의 주요 수입 어종별로 살펴보면, 냉동 각시가자미는 408톤이 수입되며 전년 동기 204톤 대비 100% 증가했다. 냉동 각시가자미 필렛 역시 131톤이 수입되어 전년 71톤 대비 85% 늘어났다. 냉동 명태 창난은 126톤이 들어와 전년 52톤 대비 142%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냉동 명태 수입량은 116톤으로 전년 761톤 대비 85% 감소하며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또한, 냉동 가오리는 114톤이 수입되어 전년 220톤 대비 48%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1월 미.. 2025. 2. 24.
대만산 수산물 수입량 68% 감소… 냉동 꽁치 88% 급감 2025년 1월 국내로 수입된 대만산 수산물이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월 대만산 수산물 수입량은 767톤으로, 2024년 1월 2,415톤 대비 1,648톤이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수산물 총량 75,350톤의 1% 수준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냉동 꽁치는 205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1,653톤 대비 88% 감소하며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다. 냉동 오징어 역시 163톤으로 전년 429톤 대비 62% 줄어들었다. 냉동 청상아리는 100톤이 수입되며 전년 99톤 대비 1% 증가했으나, 냉동 황새치는 93톤이 수입되어 전년 119톤 대비 22% 감소했다.   2025년 1월 대만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358만 달러(USD)로, 전년 동기의 763.. 2025. 2. 18.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 증가… 고등어 필렛 84% 급증 2025년 1월 국내로 수입된 노르웨이산 수산물의 총량이 14,966톤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12,000톤) 대비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총량 75,350톤 중 20%를 차지하는 수치다.   특히 냉동 고등어 필렛의 수입량이 크게 증가했다. 2025년 1월 한 달간 수입된 냉동 고등어 필렛은 589톤으로, 전년 동기의 320톤 대비 무려 84% 증가했다. 냉동 고등어 또한 11,610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9,163톤) 대비 27% 증가했다. 반면, 냉장 연어의 수입량은 감소했다. 냉장 연어는 1,006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1,345톤) 대비 13% 감소했다. 하지만 냉장 대서양연어는 511톤이 수입되며 전년 동기(257톤) 대비 99% 급증했다. 또한, 냉장 연.. 2025. 2. 17.
2025년 1월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 10% 감소 2025년 1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은 4,058톤으로, 2024년 동기의 4,523톤 대비 10% 감소하였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5,350톤의 5%를 차지하는 규모다.   주요 품목별 수입량을 살펴보면:냉동 주꾸미는 1,949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2,089톤 대비 7% 감소하였다.냉동 낙지는 474톤이 수입되어 전년 369톤 대비 28% 증가하였다.염장 젓새우는 378톤이 수입되어 전년 532톤 대비 29% 감소하였다.냉동 갑오징어는 210톤이 수입되어 전년 272톤 대비 23% 감소하였다.   2025년 1월 베트남산 수산물의 총 수입금액은 USD 2,264만 달러로, 2024년 동기의 USD 2,686만 달러 대비 16% 감소하였다. 평균 수입 단가는 USD 5.58.. 2025. 2. 13.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1월까지 17% 감소 2025년 1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중국산 수산물은 총 22,214톤으로, 2024년 동기의 26,646톤 대비 17% 감소하였다. 이는 전체 국가의 수입량인 75,350톤 중 29%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냉동 아귀는 4,906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6,488톤 대비 24% 감소하였고, 냉동 부세는 2,054톤이 수입되어 전년 2,219톤 대비 7% 감소하였다. 또한, 활 바지락은 2,043톤이 수입되어 전년 2,179톤 대비 6% 감소하였으며, 냉동 절단 꽃게는 1,426톤이 수입되어 전년 1,174톤 대비 21% 증가하였다. 활 돌비늘백합은 1,371톤이 수입되어 전년 1,154톤 대비 19% 증가하였다.   2025년 1월까지 중국산 수산물의 총 수입금액은 USD 7,350만.. 2025.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