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산 수산물 수입량 ‘뚝’… 3월까지 60% 급감!
올해 3월까지 국내로 유입된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3월 국내 수입량은 777톤으로, 전년 동기 1,003톤 대비 23% 감소했으며, 누적 수입량도 지난해 대비 16% 줄어든 2,281톤에 그쳤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234,669톤)의 단 1% 수준이다. 품목별로는 냉동 주꾸미(861톤)가 7% 감소, 냉동 갑오징어(190톤)는 4% 감소하며 하락세를 보였지만, 냉동 흰다리새우살(393톤)은 9% 증가, 냉동 낙지(217톤)는 3% 증가하며 일부 품목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수입 금액 역시 하락했다. 2025년 3월 총 수입금액은 USD 703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 감소했으며, 누적 수입금액 역시 지난해보다 13% 감소한 USD 1,888만 달..
2025. 4. 22.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가격까지 폭등! 소비자 우려 커진다.
2025년 3월, 일본산 수산물의 국내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하며 2,036톤을 기록했다. 누적 수입량은 6,432톤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수입량인 6,375톤보다 1% 증가해 전체 수입량의 3%를 차지했다. 주요 수입 품목 중 활 방어는 1,738톤으로 작년 동기 대비 4% 감소했으나, 활 큰 가리비는 1,078톤, 활 참돔은 980톤으로 각각 수입되었다. 특히 활 참돔은 전년 804톤에서 22%나 증가하며 눈길을 끌었다. 반면, 냉장 명태는 434톤으로, 지난해 476톤 대비 9% 감소했다. 수입금액 역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25년 3월 수입금액은 전년 동기의 USD 1,073만 달러에서 10% 늘어나 USD 1,179만 달러를 기록했다. 누적 수입금액은 USD 4,375만..
2025. 4. 18.
베트남산 냉동 낙지 수입량 29% 급증… 2025년 3월 수산물 전체 수입도 증가세
2025년 3월 한 달간 베트남산 수산물의 국내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냉동 낙지의 수입량은 29% 증가하며 눈에 띄는 성장세를 기록했다. 2025년 3월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은 총 4,147톤으로, 이는 2024년 3월 수입량인 3,200톤 대비 30% 증가한 수치다. 올해 1~3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11,812톤으로 집계되며, 전년 동기의 11,357톤보다 4%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수입국 중 5%의 비중을 차지한다. 품목별로 살펴보면:냉동 낙지는 1,480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1,143톤보다 29% 증가냉동 갑오징어는 666톤으로 전년(577톤) 대비 15% 증가반면, 냉동 주꾸미는 4,958톤으로 전년(5,113톤) 대비 3% 감..
2025. 4. 9.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3월 중 7% 증가…수입금액은 5% 상승
2025년 3월 국내로 수입된 중국산 수산물이 총 20,967톤으로 집계되며, 전년 동기인 19,671톤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61,425톤으로, 전년 동기의 61,713톤과 유사한 수준을 보이며 보합세를 유지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234,669톤 중 26%를 차지하는 수치다. 품목별로는 냉동 아귀가 12,949톤 수입되어 전년 대비 8% 감소했으며, 활 바지락은 5,999톤으로 4% 증가, 활 돌비늘백합은 3,925톤으로 9% 증가했다. 반면, 냉동 오징어는 3,769톤으로 19% 감소, 냉동 낙지는 3,184톤으로 12% 감소하며 감소세를 보였다. 3월 한 달간 중국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미화 7,237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
2025. 4. 8.
3월까지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 37% 증가… 냉동 고등어·연어 필렛 강세
올해 3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노르웨이산 수산물이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3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31,781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의 23,261톤보다 8,520톤 증가했다. 이는 전체 국가의 수산물 수입량(234,669톤)의 14%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3월 한 달 동안 국내로 들어온 노르웨이산 수산물은 6,703톤으로, 전년 동기의 5,058톤 대비 33% 증가했다. 품목별 수입량을 살펴보면, 냉동 고등어는 21,663톤이 수입되며 전년 동기(14,746톤) 대비 47% 증가했다. 냉장 연어는 3,207톤이 들어와 전년 동기(4,040톤)보다 21% 감소했지만, 냉동 고등어 필렛(1,805톤, 112% 증가)과 냉장 대서양 연어(1,706톤, 125% 증가..
2025. 4. 3.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증가… 2월 누적 4,395톤 기록
2025년 2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일본산 수산물은 총 2,099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1,997톤 대비 5% 증가한 수치다. 또한, 2월 누적 수입량은 4,395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의 4,308톤보다 2% 증가하며 전체 국가 수입량 152,793톤 중 3%를 차지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활 방어는 1,715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1,709톤과 비교해 보합세를 유지했다. 활 큰가리비는 406톤이 수입되었으며, 활 참돔은 501톤이 수입되어 전년 412톤 대비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냉장 명태는 326톤이 수입되어 지난해 같은 기간 344톤 대비 5% 감소했다. 2025년 2월 한 달간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1,468만 달러(USD)로, 전년 동기의 1,20..
2025. 3. 25.
2월 베트남산 낙지 수입량 29% 증가… 주꾸미, 갑오징어는 감소
2025년 2월 국내로 수입된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은 3,612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의 3,637톤 대비 1% 감소했다. 또한, 올해 누적 수입량은 7,664톤으로 전년 동기 8,133톤보다 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국가의 수입량인 152,793톤 중 5%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냉동 주꾸미는 3,397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3,713톤 대비 9% 감소했다. 반면, 냉동 낙지는 995톤이 수입되어 2024년 2월의 772톤보다 29% 증가했다. 염장 젓새우는 713톤이 수입되며 전년 946톤 대비 25% 감소했고, 냉동 갑오징어도 394톤이 수입되며 전년 동기의 475톤보다 17% 줄어들었다. 수입 금액 또한 감소세를 보였다. 2025년 2월 베트남..
2025. 3. 20.
2025년 2월 러시아 수산물 수입량 10% 감소
2025년 2월 중 대한민국에 수입된 러시아산 수산물은 25,668톤으로, 2024년 동기의 28,501톤 대비 10% 감소했다. 누적 수입량은 42,930톤으로 전년 동기(44,502톤) 대비 4%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국가의 수입량(152,793톤) 중 28%를 차지하는 수치다. 내용별 수입량은 다음과 같다.냉동 명태: 24,257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24,715톤) 대비 2% 감소냉동 청어: 4,137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7,842톤) 대비 47% 감소냉동 정어리: 2,420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68톤) 대비 3,459% 증가냉동 각시가자미: 2,165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1,853톤) 대비 17% 증가 2025년 2월 중 러시아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USD 6,843만 달러..
2025. 3. 19.
2월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 63% 증가… 냉동 고등어·연어 필렛 강세
올해 2월 국내로 수입된 노르웨이산 수산물이 전년 대비 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2월 중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은 10,107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6,207톤) 대비 63% 증가했다. 1~2월 누적 수입량은 25,069톤으로, 전년 동기(17,674톤)보다 42% 늘어나며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노르웨이산 수산물은 전체 수입 수산물 152,793톤 중 16%를 차지하며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품목별 수입 동향냉동 고등어: 18,314톤 수입, 전년 동기(12,245톤) 대비 50% 증가냉장 연어: 2,069톤 수입, 전년 동기(2,660톤) 대비 22% 감소냉동 고등어 필렛: 1,298톤 수입, 전년 동기(731톤) 대비 78% 증가냉장 대서양연어: 1,090톤 수입, ..
2025. 3. 11.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2월 중 19% 감소
2025년 2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중국산 수산물은 18,253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의 15,379톤 대비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40,455톤으로, 전년 동기의 41,296톤보다 2%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수산물 총량 152,793톤의 2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세부 품목별로는 냉동 아귀가 8,981톤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9,556톤 대비 6% 감소하였다. 반면, 활 바지락은 3,956톤으로 전년 3,856톤 대비 3% 증가하였고, 냉동 부세는 2,679톤으로 전년 2,654톤보다 1% 증가하였다. 또한, 활 돌비늘백합은 2,621톤이 수입되어 전년 2,393톤 대비 10% 늘었으며, 냉동 절단 꽃게는 2,256톤으로 전년 1,88..
2025. 3. 10.
2025년 1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7% 감소
2025년 1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일본산 수산물은 총 2,301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2,468톤 대비 7% 감소한 수치다.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량은 전체 국가 수입량 75,350톤 중 3%를 차지하고 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활 방어는 1,036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1,165톤 대비 11% 감소했다. 반면 활 큰 가리비는 341톤이 수입되었으며, 활 참돔은 169톤으로 전년 동기 135톤 대비 25% 증가했다. 활 멍게 또한 160톤이 수입되며 전년 98톤 대비 63%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냉장 명태는 126톤이 수입되었으나, 이는 전년 동기 192톤 대비 34% 감소한 수준이다. 2025년 1월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1,533만 달러(USD)로, 전년 동기 1,483만..
2025.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