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캐나다산 수산물 수입량 1% 감소, 누적 수입량은 증가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캐나다산 수산물은 437톤으로, 전년 동기의 443톤 대비 1% 감소했다. 그러나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4,615톤으로, 전년 동기 4,220톤 대비 9% 증가하며 전체 국가 수입량 814,815톤 중 약 0.6%를 차지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활 바다가재가 1,235톤으로 전년 동기의 1,404톤 대비 12% 감소했으며, 냉동 자숙 바다가재는 534톤으로 전년 동기 319톤 대비 67% 증가했다. 또한, 냉동 바다가재는 511톤으로 전년 동기 326톤 대비 57% 늘었고, 냉동 아메리카 바다가재는 314톤으로 전년 동기 23톤 대비 대폭 증가했다. 2024년 11월 캐나다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USD 889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USD 746만..
2024. 12. 19.
11월 냉동 각시가자미 수입량 23% 증가, 누적 수입량은 감소
2024년 11월 한 달간 냉동 각시가자미의 수입량은 1,906톤으로, 전년 동기의 1,544톤 대비 23% 증가했지만,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15,817톤으로, 전년 동기 18,418톤 대비 14% 감소하며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의 약 2%를 차지하는 규모다. 국가별로는 러시아에서 전체 수입량의 79%인 12,452톤이 수입되었고, 미국에서 3,230톤, 중국에서 135톤이 각각 수입됐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러시아 USD 1.92/kg, 미국 USD 2.12/kg, 중국 USD 2.03/kg으로 집계됐다. 11월 냉동 각시가자미의 수입금액은 USD 370만 달러로, 전년 동기 USD 303만 달러 대비 22% 증가했다. 그러나 1월부터 11..
2024. 12. 19.
페루산 수산물 수입량 60% 감소…수입 금액도 큰 폭 하락
2024년 11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페루산 수산물이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한 달 동안 페루산 수산물 수입량은 522톤으로, 전년 동기 2,439톤 대비 79% 급감했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24,033톤으로, 지난해 동기 누적 수입량인 60,372톤보다 60%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814,815톤)의 약 3%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품목별로는 냉동 오징어 관련 제품의 수입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냉동 오징어 지느러미: 9,298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15,361톤 대비 39% 감소냉동 자숙 오징어 동체: 8,530톤이 수입되어 전년 17,819톤 대비 52% 감소냉동 오징어 다리: 3,079톤이 수입되어 전년 9,309톤 대비 67%..
2024. 12. 13.
11월 임연수어 수입량 11% 증가…누적 수입금액 16% 상승
2024년 11월 한 달간 국내로 수입된 임연수어는 1,33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수입량은 1,201톤이었다. 이에 따라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11,766톤으로, 전년 동기 누적 수입량 11,518톤 대비 2% 늘어났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의 1.4%를 차지하는 규모다. 국가별로는 러시아에서 8,044톤(68%), 미국에서 3,722톤(32%)이 수입되었다. 수입 단가는 러시아산이 USD 2.58/kg, 미국산이 USD 2.26/kg으로 집계됐다. 11월 한 달간 임연수어 수입금액은 USD 375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USD 287만 달러 대비 31% 증가했다. 누적 수입금액 역시 USD 2,917만 달러로..
2024. 12. 13.
11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29% 증가, 수입금액도 대폭 상승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일본산 수산물은 총 3,074톤으로, 2023년 동기 2,387톤 대비 약 29% 증가했다. 올해 누적 수입량은 24,724톤으로, 전년 동기의 21,301톤에 비해 16%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 중 3%를 차지한다. 품목별 수입량 변동활 가리비: 6,041톤으로, 전년 동기 9,496톤 대비 36% 감소활 참돔: 4,696톤으로, 전년 동기 4,291톤 대비 9% 증가활 방어: 3,459톤으로, 전년 동기 1,496톤 대비 대폭 증가냉동 큰 가리비: 2,380톤으로, 전년 동기 0톤에서 수입 시작활 큰 가리비: 2,293톤으로, 전년 동기 0톤에서 수입 시작 2024년 11월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2,078만 달러로, 전년 동..
2024. 12. 12.
11월 냉동 갑오징어 수입량 6% 감소, 수입단가도 하락세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갑오징어는 총 419톤으로, 2023년 동기 수입량인 446톤 대비 약 6% 감소했다. 올해 누적 수입량은 4,226톤으로, 전년 동기의 4,264톤에 비해 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 중 0.5%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수입 주요 국가별로는 베트남이 57%인 2,392톤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태국이 15%인 627톤, 인도네시아 459톤, 말레이시아 444톤 순으로 뒤를 이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태국이 USD 8.71/kg으로 가장 높았으며, 베트남은 USD 5.37/kg, 인도네시아는 USD 7.12/kg으로 집계되었다. 2024년 11월 냉동 갑오징어 수입금액은 220만 달러로, 2023년 동기 279..
2024. 12. 12.
11월 칠레산 수산물 수입량, 오징어 지느러미 증가 / 오징어 동체 감소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칠레산 수산물은 총 1,299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999톤 대비 57%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25,108톤으로, 전년 동기 28,079톤에 비해 11%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국가 수산물 수입량(814,815톤)의 약 3%에 해당한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냉동 오징어 지느러미는 8,127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5,470톤 대비 49% 증가했으며, 냉동 은연어는 6,965톤이 수입되어 전년 5,647톤에 비해 23% 증가했다. 반면, 냉동 오징어 동체는 6,154톤으로 지난해 11,699톤 대비 43% 감소했고, 냉동 대서양연어는 792톤으로 전년 922톤 대비 14% 줄었다. 냉동 자숙 홍합 살은 736톤으로 전년 814톤에 비해..
2024. 12. 11.
11월까지 냉동 청어 수입량 45% 감소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청어는 0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수입된 44톤과 비교해 전무한 상태를 보였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12,40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한 22,730톤에 비해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814,815톤)의 1.5%에 해당한다. 냉동 청어는 대부분 러시아에서 수입되었으며, 러시아산이 99%를 차지하는 12,328톤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미얀마에서 66톤, 노르웨이에서 6톤, 방글라데시에서 1톤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 단가는 러시아산이 USD 0.87/kg, 미얀마산이 USD 2.52/kg으로 나타났다. 2024년 11월 한 달간 청어의 수입금액은 USD 0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2024. 12. 11.
11월 미국산 수산물 수입량 42% 감소…냉동 연어는 945% 급증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미국산 수산물 수입량이 전년 동월 대비 42% 감소한 3,087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11월 수입량 5,303톤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31,939톤으로, 전년 동기 36,311톤보다 9% 감소했다. 이는 전 세계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 중 약 4%를 차지한다. 미국산 주요 수입 어종별로는 다음과 같은 변동이 있었다:냉동 임연수어: 3,722톤으로 전년 동기 2,417톤 대비 54% 증가냉동 각시가자미: 3,230톤으로 전년 동기 6,208톤 대비 48% 감소냉동 가오리: 3,103톤으로 전년 동기 3,068톤 대비 1% 증가냉동 연어: 3,093톤으로 전년 동기 296톤 대비 945% 급증냉동 대구 목살:..
2024. 12. 10.
11월 냉동 오징어 동체 수입량 79% 증가…누적량은 전년 대비 감소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오징어 동체의 수입량이 전년 동월 대비 79% 증가한 3,770톤으로 집계됐다. 2023년 11월 수입량은 2,110톤이었다. 하지만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19,260톤으로, 전년 동기의 31,409톤에 비해 39% 감소했다. 이는 세계 냉동 오징어 동체 전체 수입량 814,815톤의 약 2%에 해당하는 수치다. 국가별 수입 현황을 보면, 중국이 61%인 11,763톤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칠레에서 32%인 6,154톤, 페루 715톤, 아르헨티나 345톤, 인도네시아 170톤, 대만 98톤 등이 뒤를 이었다. 국가별 수입 단가는 아르헨티나가 USD 6.19/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 USD 2.64/kg, 칠레 USD 1.97/kg..
2024. 12. 10.
11월까지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노르웨이산 수산물은 5,699톤으로, 이는 2023년 동기 수입량인 5,337톤 대비 7%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1월부터 11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60,556톤으로, 전년 동기의 63,870톤 대비 5% 감소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의 약 7%를 차지한다. 품목별 수입량냉동 고등어: 26,624톤 수입, 전년 동기 30,339톤 대비 12% 감소냉장 연어: 14,471톤 수입, 전년 동기 16,577톤 대비 13% 감소냉장 연어 필렛: 4,161톤 수입, 전년 동기 4,378톤 대비 5% 감소냉동 고등어 필렛: 4,125톤 수입, 전년 동기 5,483톤 대비 25% 감소냉장 대서양연어: 3,814톤 수입, 전년 동기 1,017톤..
2024. 12. 9.
2024년 11월 냉동 아귀 수입량, 전년 동월 대비 16% 감소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아귀는 1,506톤으로, 이는 2023년 동기 수입량인 1,784톤 대비 16% 감소한 수치다. 하지만 올해 11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25,126톤으로 전년 동기의 23,428톤보다 7% 증가하며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의 약 3.1%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냉동 아귀의 주요 수입국은 중국으로, 전체 수입량의 98%인 24,675톤이 중국에서 수입됐다. 이외에도 미국에서 319톤, 브라질에서 100톤, 남아공에서 32톤이 각각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미국이 USD 4.50/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남아공 USD 3.16/kg, 브라질 USD 3.00/kg, 중국 USD 2.04/kg 순으로 형성되었다. 11월 냉동..
2024. 12. 9.
냉동 낙지 수입량 감소… 중국산 비중 68% 차지
2024년 11월까지의 냉동 낙지 수입량이 감소한 가운데, 평균 수입단가는 상승세를 보였다. 11월 한 달간 냉동 낙지는 2,867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월 2,904톤 대비 1% 감소했으며, 누적 수입량은 20,692톤으로 전년 동기 21,500톤 대비 4%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 중 2.5%를 차지한다. 수입국별로는 중국이 전체의 68%인 14,030톤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베트남(4,908톤), 태국(661톤), 인도네시아(659톤) 순으로 수입됐다. 11월 중 냉동 낙지 수입금액은 1,832만 달러로 전년 동기 1,851만 달러 대비 1% 감소했고, 누적 수입금액은 1억 3,515만 달러로 2023년 동기의 1억 3,573만 달러보다 0.4% 줄었..
2024. 12. 6.
냉동 주꾸미 수입량 8% 증가…11월까지 총 25,311톤 수입
2024년 11월까지 냉동 주꾸미의 수입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수입된 냉동 주꾸미는 총 25,311톤으로, 이는 2023년 동기 수입량인 23,378톤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는 올해 11월까지 전체 수산물 수입량 814,815톤의 약 3%를 차지한다. 11월 한 달 동안의 수입량은 2,714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다. 반면 누적 수입량은 증가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이 주요 수입국으로 전체의 82%에 해당하는 20,719톤을 공급했으며, 태국(3,330톤), 인도네시아(741톤), 중국(409톤)이 그 뒤를 이었다. 수입단가는 태국산이 kg당 USD 7.23로 가장 높았고, 베트남산은 USD 6.13,..
2024. 12. 5.
11월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14% 감소… 수입금액 31% 줄어
2024년 11월 국내로 수입된 러시아산 수산물은 21,142톤으로, 전년 동기 수입량인 24,594톤 대비 14% 감소했다. 11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236,627톤으로 전년 동기(268,459톤)보다 12% 줄어들었으며, 이는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수산물 총량(814,815톤)의 29%를 차지했다. 주요 품목별 수입량 변화냉동 명태: 131,539톤(전년 동기 대비 5% 증가)냉동 명태알: 15,021톤(전년 동기 대비 7% 증가)냉동 각시가자미: 12,452톤(전년 동기 대비 4% 증가)냉동 청어: 12,328톤(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냉동 명태 곤이: 9,319톤(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 수입금액 및 평균 단가2024년 11월 러시아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USD 7,371만 달러..
2024. 12. 4.
2024년 11월 냉동 고등어 수입 현황
2024년 11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냉동 고등어는 2,660톤으로, 2023년 동기 수입량인 2,402톤보다 11% 증가했으나, 누적 수입량은 29,220톤으로, 전년 동기의 36,420톤 대비 20% 감소하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814,815톤)의 4%를 차지했다. 11월까지 냉동 고등어 수입은 주로 노르웨이에서 91%에 해당하는 26,624톤이 수입되었고, 이어 중국에서 5%인 1,441톤, 네덜란드에서 848톤, 독일에서 95톤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노르웨이 USD 2.31/kg, 중국 USD 2.32/kg, 네덜란드 USD 2.16/kg로 나타났다. 11월 중 냉동 고등어 수입 금액은 USD 686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USD 546만 달러보다 26% 증가했다. 하지만 누..
2024. 12. 3.
2024년 11월 누적 주요 국가별 월간 수산물 수입현황
2024년 11월까지 수입된 수산물은 814,815톤이며 전년동기의 물량인 878,732톤과 비교하면 7%가 줄어든 물량이고 11월까지의 수입금액은 USD 36억 4,089만 달러로 2023년의 USD 41억 5,576만 달러와 비교하면 12%가 하락하였다. 러시아, 노르웨이, 미국, 칠레, 페루 등 5개국은 수입량이 감소하였고, 중국, 베트남, 일본, 대만, 멕시코 5개국은 수입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별 수입량 증감 비율 (2023년>2024년 순서)1. 러시아 12% 감소 (268,464톤236,622톤)2. 중국 5% 증가 (187,112톤> 19,940톤)3. 노르웨이 5% 감소 (63,870톤> 60,557톤)4. 베트남 10% 증가 (47,878톤> 52,791톤)5. 미..
2024. 12. 3.
2024년 11월 누적 주요 어종별 월간 수산물 수입현황
11월까지 수입량이 많은 10개 어종은 냉동 명태, 오징어, 고등어, 주꾸미, 아귀, 낙지, 오징어 지느러미, 오징어 동체, 염장 해파리, 명태알 순으로 나타났다. 냉동 명태를 포함한 오징어, 주꾸미, 아귀, 염장 해파리, 명태알 등 6개 품목은 전년 대비 올해 수입량이 증가하였고 냉동 고등어, 낙지, 오징어 지느러미, 동체 등 4개 품목은 수입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주요 어종별 수입량 증감 비율 (2023년>2024년) 1. 냉동 명태 2% 증가 (129,897톤> 133,014톤) 전체 수입량의 16.3% 차지2. 냉동 오징어 12% 증가 (33,188톤> 37,112톤) 전체수입량의 4.6% 차지3. 냉동 고등어 20% 감소 (36,419톤> 29,220톤) 전체수입량의 3.6% 차지4. ..
2024.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