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별 수산기사1256

미얀마, 어업 수출 USD 7.5억 달러 목표 미얀마, 어업 수출 USD 7.5억 달러 목표…하반기 수출 확대 추진미얀마 정부가 2025~2026 회계연도 수산물 수출 목표를 USD 7억 5000만 달러(약 53만 톤)로 설정했습니다. 수산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4월 ~ 6월)동안 8만 2773톤을 수출해 USD 약 1억 1960만 달러의 외화를 벌어들였습니다.전년도(2024~2025년)에는 약 55만 톤을 수출해 USD 7억 2200만 달러를 달성한 만큼, 올해도 비슷한 수준의 실적이 기대됩니다. 주요 수출 대상 및 품목수출국: 중국, 태국, 일본, 방글라데시, 유럽 등 40여 개국주요 어종: 힐사(hilsa), 로후(rohu), 메기(catfish), 농어(seabass) 등수출 형태: 냉동, 활어, 건조, 염장 등시설 현황: 140개 이상.. 2025. 7. 24.
2025 러시아 연어 조업 시즌 본격 돌입! 러시아의 대표 수산물인 연어(salmon) 조업이 2025년에도 본격화되며, 극동 지역에서의 어획량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7월 23일 기준으로 러시아 전체 극동 해역에서 잡힌 연어는 무려 12만 5천 톤을 넘겼습니다. 이 숫자는 작년보다 빠른 조업 페이스를 보여주는 수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어디서 얼마나 잡혔을까?지역별 어획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캄차카 지역: 27,900톤하바롭스크: 9,200톤프리모르스키: 7,900톤마가단: 6,000톤사할린: 1,500톤추코트카 자치구: 235톤이처럼 러시아의 주요 어장들이 활발히 가동되며 어획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체 시즌 생산량은 줄어든다?흥미로운 점은, 초반 어획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전체 시즌 어획량은 작년보다 낮을 .. 2025. 7. 23.
말레이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6월 중 12% 감소 2025년 6월, 국내로 수입된 말레이시아산 수산물이 366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하지만 1~6월 누적 수입량은 2,331톤으로 전년보다 3% 증가했으며, 전체 수입량의 0.5%를 차지했다.✅ 주요 품목별 수입 변동:냉동 흰다리새우: 930톤 (54% 증가)냉동 얼룩새우: 917톤 (15% 감소)냉동 낙지: 285톤 (33% 증가)냉동 갑오징어: 114톤 (35% 감소)💰 6월 수입금액은 298만 달러(5% 증가),누적 금액은 1,826만 달러(13% 감소)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일부 품목은 증가했지만, 수익성과 물량에서 조정 국면이 감지된다.최신 수산물 뉴스/기사최근의 수산물 관련 뉴스, 현황 그리고 빠르게 변화는 시장 동향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사업에 도움이 .. 2025. 7. 21.
2025년 6월까지, 필리핀산 수산물 수입량 6% 감소 올해 6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필리핀산 수산물은 총 1,194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수입량의 0.3% 수준이다. 6월 한 달간은 249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지만, 연간 누적 기준으로는 감소세이다.🔹 품목별 변화냉동 자숙 문어: 1% 증가 (688톤)문어 다리: 46% 증가 (123톤)전복살: 53% 감소 (81톤)💰 금액 기준6월 수입액: 253만 달러 (전년 대비 25%↑)누적 수입액: 1,349만 달러 (전년 대비 16%↓)평균 단가: 11.30달러/kg (전년 대비 11%↓)문어류 수입은 증가했지만, 전복류 급감이 전체 실적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최신 수산물 뉴스/기사최근의 수산물 관련 뉴스, 현황 그리고 빠르게 변화는 시.. 2025. 7. 18.
캐나다산 수산물, 6월 수입량 35% 급증! 연어·물레고둥 수요 증가… 랍스터는 감소세2025년 6월, 한국이 캐나다에서 수입한 수산물 물량이 전년 동월 대비 35%나 증가했다.📌 수입량 요약6월 수입량: 291톤 (2024년 6월: 215톤)상반기 누적 수입량: 1,518톤 (전년 대비 15% 감소)전체 수산물 수입에서 캐나다산 비중: 0.3%📌 주요 품목별 변화🦞 활 바다가재: 664톤 → 10% 감소🐟 냉장 대서양 연어: 5톤 → 113톤으로 폭증🐚 자숙 유럽 물레고둥: 69톤 → 92톤, 33% 증가📌 수입 금액 및 단가6월 수입금액: 493만 달러 (전년 대비 13% 증가)상반기 누적 금액: 2,986만 달러 (전년 대비 28% 감소)평균 단가: 19.67달러/kg, 전년 대비 15% 하락✅ 고급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 관심은 높.. 2025. 7. 17.
일본 수산물 수입, 6월에 32% ‘급감’ 일본 수산물 수입, 6월에 32% ‘급감’물량은 줄고, 단가는 오르고… 활어 중심으로 수입 재편 중2025년 6월, 국내로 들어온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이 전년보다 32%나 감소했다. 총 수입량은 1,831톤으로, 2024년 6월의 2,681톤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 누적 수입량도 4% 줄어든 12,882톤으로, 전체 수산물 수입 중 3% 수준이다. 하지만 특이한 점은, 수입금액은 오히려 늘었다는 것! 6월 한 달 수입금액은 1,131만 달러, 누적으로는 8,232만 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7%, 15% 증가했다. 이는 평균 단가가 20% 이상 상승한 결과로, kg당 6.39달러에 이르렀다.📌 주요 품목별 변화:활 참돔 수입 ↑ 21% (2,702톤)활 큰 가리비 수입 2,417톤활 방어 수입 ↓ 4% .. 2025. 7. 16.
2025년 상반기 영국산 수산물 수입 급증! 고등어와 골뱅이가 수요 견인2025년 상반기, 한국이 영국산 수산물을 무려 3,111톤이나 수입하면서 전년 대비 19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입 금액은 2,480만 달러로, 123% 증가한 수치입니다.이번 수입 급증의 중심에는 냉동 고등어와 골뱅이가 있었습니다.🐟 고등어, 영국산 수입 1위로 ‘급부상’2024년 상반기에는 수입이 전혀 없던 영국산 냉동 고등어가2025년에는 무려 1,510톤 수입되며 전체 수입량의 절반 가까이(48.5%)를 차지했습니다.💰 수입 금액: 429만 달러📦 단가: 킬로그램당 2.84달러 (가장 저렴)✅ 활용성: 저렴한 단가 덕분에 가공·유통 측면에서 인기🐚 골뱅이(살, 자숙), 단가 올라도 수입 ‘쑥쑥’한국인에게 익숙한 골뱅이(냉동, 살, 자숙)는2025년 1.. 2025. 7. 15.
2025년 6월, 미국산 수산물 수입 '급증'! 2025년 6월, 미국산 수산물 수입 '급증'!2025년 6월, 미국산 수산물 수입량이 전년 대비 55% 증가한 3,404톤을 기록했다. 특히 냉동 각시가자미와 명태의 수입이 크게 늘어났고, 수입금액도 29% 증가해 1,021만 달러에 달했다. 하지만 올해 누적 수입량은 15,273톤, 수입금액은 5,058만 달러로, 작년보다 각각 16%, 12% 감소했다.📌 평균 수입단가: 3.31달러/kg📌 주요 증가 품목: 냉동 각시가자미(+37%), 냉동 명태(+54%)📌 주요 감소 품목: 냉동 임연수어(-12%), 냉동 가오리(-27%)내용보기 : https://www.forsea.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72206 최신 수산물 뉴스/기사최근의 수산물 관련 뉴.. 2025. 7. 15.
대만 수산물 수입량, 6월 기준 43% 급감! 대만 수산물 수입량, 6월 기준 43% 급감!2025년 6월, 국내로 들어온 대만산 수산물 수입량이 1,105톤으로 집계되며 전년 대비 43%나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누적 수입량도 5,930톤으로, 지난해보다 21% 줄어든 수치이다.📉 품목별 변화는 다음과 같다:냉동 오징어: 42% 감소냉동 꽁치: 55% 감소냉동 황새치: 8% 감소반면, 냉동 눈다랑어는 372% 급증!💰 수입금액도 줄어들었다:6월 수입금액은 543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 감소평균 단가는 오히려 올라 4.59달러/kg → 18% 상승전반적으로 수입량은 줄었지만, 일부 품목에서는 가격 상승이나 반등 조짐도 나타나고 있어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최신 수산물 뉴스/기사최근의 수산물 관련 뉴스, 현황 그리고 빠르게 변화는 시장 동향을 확.. 2025. 7. 14.
아르헨티나 수산물 수출, 오징어는 급증 아르헨티나 수산물 수출, 오징어는 급증…새우는 급감하며 시장 양극화 심화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아르헨티나의 수산물 수출이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오징어가 성장을 이끈 반면 새우 수출은 크게 줄어들며 시장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총 수출액은 약 8억 7,923만 달러로 5.3% 증가했다. 품목별 주요 동향오징어:135,227톤 수출로 전체의 55%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수량 10%, 수출 단가 9.7% 상승.총 수출액은 3억 7,439만 달러.노르파타고니아 해역에서 30년 만의 최대 어획량(약 184,712톤)을 기록, 수출 증가를 뒷받침.주요 수출국은 중국(65%), 태국, 스페인.새우:전(全) 새우 수출 8,196톤으로 전년 대비 41.7% 급감, 수출액도 44.5% 감소.수출 단가는 톤당 5,1.. 2025. 7. 13.
태국산 수산물, 상반기 수입량 14% 감소! 태국산 수산물, 상반기 수입량 14% 감소!2025년 6월까지 국내에 들어온 태국산 수산물 누적 수입량은 5,395톤, 전년 대비 14% 줄어든 수치이다. 반면 6월 한 달간은 2% 증가하며 일부 품목은 성장세를 보였다.✅ 품목별 변화냉동 주꾸미 1% 증가냉동 흰다리새우살 11% 증가염장 해파리 59% 급감냉동 갑오징어 8% 증가💰 수입금액은 6월 기준 28% 증가, 평균 단가는 7% 상승해 단가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물량은 줄었지만, 단가와 수입액이 오르고 있어 시장 흐름 주목!내용보기 : https://www.forsea.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72202 최신 수산물 뉴스/기사최근의 수산물 관련 뉴스, 현황 그리고 빠르게 변화는 시장 동향을 확인하.. 2025. 7. 11.
2025년 6월 냉동 명태 수입량 100% 급증 📈 2025년 6월 냉동 명태 수입량 100% 급증…러시아산이 대부분2025년 6월, 국내 냉동 명태 수입이 전년 대비 무려 100% 증가한 2,362톤을 기록하며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상반기 전체 누적 수입량은 59,054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65,449톤)보다 약 10% 감소한 수치를 보였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460,363톤) 중 13%를 차지하는 중요한 품목입니다.📌 국가별 수입 현황러시아: 57,036톤 (97%)미국: 1,878톤중국: 140톤러시아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수입 단가는 각각 러시아 USD 1.06/kg, 미국 USD 1.62/kg, 중국 USD 1.73/kg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입금액과 단가 변화6월 수입금액: USD 362만.. 2025. 7. 11.
노르웨이 수산물, 6월 수입 ‘폭풍 성장’! 🐟 노르웨이 수산물, 6월 수입 ‘폭풍 성장’!고등어·대서양연어 수요 폭증… 점유율 11% 달성2025년 6월,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이 전년 대비 69% 급증한 4,629톤을 기록했다. 상반기 누적 수입량도 5만 톤을 돌파하며 전체 수산물 수입의 11%를 차지, 한국 수산시장 내 입지를 빠르게 확대중이다.📌 품목별 주요 이슈냉동 고등어 31,078톤 수입 → 34% 증가냉동 고등어 필렛 3,727톤 → 74% 폭증냉장 대서양연어 3,401톤 → 125% 급등냉장 연어는 오히려 11% 감소 (7,050톤)📌 수입금액도 상승세!6월 수입금액: 4,041만 달러 (34% 증가)상반기 누적 수입금액: 3억 1,850만 달러 (11% 증가)📌 수입단가는 낮아졌다!평균 단가: 6.09달러/kg전년 동기 .. 2025. 7. 10.
러시아, 2025년 상반기 수산물 수출 증가 명태 가공품과 활게 수출이 성장 견인 2025년 상반기 러시아는 수산물 112만 톤(전년 대비 3%↑), 약 28억 달러 규모를 수출하며 수출액이 15% 가까이 증가했다.특히 명태 필렛와 연육(수리미) 같은 고부가가치 가공품 수출이 9% 늘었고,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5%로 소폭 상승했다.게류 수출도 19% 증가, 이 중 활게는 29% 급증해 성장을 이끌었다.한편, 한국의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은 6% 감소했으며, 명태는 11%, 명태알 3%, 명태곤이는 16% 줄었다. 내용보기 : https://forsea.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72199 (주)유니언포씨수산물전문 B2B사이트로 무역/유통/자료제공/위탁판매/컨설팅 등의 업무을 진행하고 있는 .. 2025. 7. 10.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은 줄고 금액은 늘었다!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은 줄고 금액은 늘었다!2025년 6월까지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은 25,701톤으로 전년 대비 1% 감소했지만, 수입금액은 1억 4,393만 달러로 1% 증가했다.📉 수입량 감소 품목냉동 주꾸미: 6% 감소염장 젓새우: 23% 감소📈 수입량 증가 품목냉동 낙지: 17% 증가냉동 갑오징어: 28% 증가💰 평균 수입단가는 kg당 5.60달러, 전년보다 3% 상승했다.베트남산 수산물은 여전히 국내 시장에서 6% 비중을 차지하며 중요한 위치를 지키고 있다.내용보기 : https://www.forsea.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72198최신 수산물 뉴스/기사최근의 수산물 관련 뉴스, 현황 그리고 빠르게 변화는 시장 동향을 확인하시려면 아.. 2025. 7. 9.
에콰도르 수산물, 6월 수입량 136% 폭등! 에콰도르 수산물, 6월 수입량 136% 폭등!2025년 6월, 에콰도르산 수산물의 국내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136%나 증가한 1,193톤을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누적 수입량은 1,842톤으로, 작년 같은 기간(3,093톤)보다 40% 감소한 수준이다.📌 6월 주요 수입 품목냉동 오징어 동체 : 732톤냉동 오징어 : 693톤냉동 오징어 다리 : 213톤냉동 흰다리새우 : 66톤 (전년 대비 97% 감소)💰 수입금액6월 : 242만 달러 (전년 대비 2%↓)누적 : 447만 달러 (전년 대비 71%↓)평균 수입단가: 2.43달러/kg전체 수입량(406,363톤) 중 에콰도르산은 0.4%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오징어 품목 위주로 급증했지만, 전반적인 수입액은 줄어든 상황. 향후 흐름에 주목해.. 2025. 7. 8.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 ‘뚝’…명태·청어 중심으로 6% 감소 2025년 상반기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이 전년 대비 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력 품목인 냉동 명태와 청어의 수입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5년 6월 한 달간 국내에 수입된 러시아산 수산물은 14,741톤으로, 2024년 동기(14,759톤) 대비 사실상 보합세를 기록했지만, 1~6월 누적 수입량은 총 120,833톤으로 전년 동기(129,199톤) 대비 6% 감소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460,363톤)의 26%를 차지하는 규모다. 품목별로 살펴보면,냉동 명태는 57,036톤 수입되어 전년(64,175톤)보다 11% 감소했으며,냉동 명태알은 10,423톤으로 전년(10,771톤) 대비 3% 감소,냉동 명태 곤이는 7,072톤으로 전년(8,442톤) 대비 16% 감소,냉동 .. 2025. 7. 7.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6월 중 20% 증가…오징어·바지락 증가세 두드러져 2025년 6월 국내로 수입된 중국산 수산물이 총 16,196톤으로 집계되며, 전년 동기 수입량(13,459톤) 대비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부터 6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114,832톤으로, 전년 동기(109,737톤) 대비 5% 증가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전체 수입 수산물 물량(406,363톤) 중 약 25%를 차지하는 규모다. 품목별로는 수입 증감이 엇갈렸다.냉동 아귀는 17,476톤으로 전년 동기(19,147톤) 대비 9% 감소,활 바지락은 11,808톤으로 23% 증가(전년 9,606톤),냉동 오징어는 10,968톤으로 31% 증가(전년 8,354톤),활 돌비늘백합은 7,955톤으로 8% 증가(전년 7,348톤),냉동 낙지는 6,940톤으로 7% 감소(전년 7,47.. 2025.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