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산 수산물 수입, 10월 중 11% 감소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캐나다산 수산물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 동안 캐나다산 수산물 수입량은 449톤으로, 전년 동기의 505톤에 비해 11% 감소했다. 그러나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4,119톤으로, 전년 동기 3,775톤 대비 11% 증가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732,192톤의 0.6%를 차지하는 규모다. 품목별로는 활 바다가재가 1,152톤으로 전년 동기의 1,290톤보다 11% 감소했다. 반면, 냉동 자숙 바다가재는 501톤이 수입되어 전년 288톤 대비 74% 증가했으며, 냉동 바다가재는 479톤으로 전년 279톤보다 72% 증가했다. 하지만 냉동 열빙어는 267톤으로 전년 동기 365톤 대비 27% 감소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
2024. 11. 22.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 및 수입금액 모두 감소
2024년 10월까지 국내로 들어온 태국산 수산물의 수입량과 수입금액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간 수입된 태국산 수산물은 1,017톤으로, 2023년 동기 1,141톤에 비해 11% 줄었다. 누적 수입량은 10,480톤으로 전년 동기 11,059톤 대비 5% 감소하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732,192톤)의 1%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냉동 주꾸미가 3,127톤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전년 대비 1% 감소했다. 염장 해파리는 3,000톤으로 4% 증가했으나, 냉동 흰다리새우살은 1,210톤으로 2%, 냉동 낙지는 630톤으로 22%, 냉동 갑오징어는 575톤으로 18% 각각 줄었다. 수입금액도 하락세를 보였다. 10월 중 태국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USD 695만 달..
2024. 11. 21.
10월 대만산 수산물 수입량 급증... 전년 대비 473% 증가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대만산 수산물이 5,830톤에 달하며 전년 동기의 1,017톤 대비 무려 47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수입량은 17,985톤으로 전년 동기 14,314톤 대비 26%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국가의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의 약 2%를 차지한다. 주요 품목별 수입 현황냉동 오징어: 6,245톤 수입, 전년 동기 1,849톤 대비 238% 증가냉동 꽁치: 6,188톤 수입, 전년 동기 6,769톤 대비 9% 감소냉동 황새치: 2,550톤 수입, 전년 동기 1,937톤 대비 32% 증가냉동 청상아리: 501톤 수입, 전년 동기 435톤 대비 15% 증가 수입금액 및 단가 상승2024년 10월 한 달간 대만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USD 1,816만 달러로 전..
2024. 11. 20.
10월 필리핀산 수산물 수입량 10% 감소…금액은 12% 하락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필리핀산 수산물은 279톤으로, 전년 동기의 311톤보다 10% 감소했지만,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2,255톤으로 전년 동기 2,133톤 대비 6% 증가하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 중 약 0.3%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냉동 자숙 문어가 1,307톤으로 전년 1,067톤 대비 22% 증가했으며, 냉동 자숙 전복살은 258톤으로 전년 462톤 대비 44% 감소했다. 냉동 자숙 문어 다리는 169톤으로 전년 110톤보다 54% 증가했고, 냉동 자숙 문어 슬라이스는 94톤으로 전년 55톤 대비 71% 증가를 기록했다. 2024년 10월 필리핀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USD 287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의 USD 403만 달러 대비 29% 감소했..
2024. 11. 19.
페루산 수산물 수입량 59% 급감, 10월까지 감소세 뚜렷
2024년 10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페루산 수산물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간 페루산 수산물 수입량은 1,905톤으로 2023년 같은 시기 1,914톤 대비 소폭 감소했으며, 올해 누적 수입량은 23,511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7,932톤보다 59% 줄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 중 약 3%에 해당한다. 품목별로는 냉동 오징어 지느러미가 9,127톤 수입되어 전년 동기 14,852톤 대비 39% 감소했으며, 냉동 자숙 오징어 동체는 8,421톤으로 전년 16,918톤보다 50% 줄어들었다. 또한, 냉동 오징어 다리는 3,045톤이 수입되어 지난해 같은 기간의 8,564톤 대비 64% 감소했다. 반면, 냉동 붕장어 필렛은 963톤으로 전년 ..
2024. 11. 15.
10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전년 대비 29% 증가…수입금액 64% 증가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이 2,152톤으로, 전년 동기의 1,669톤 대비 29% 증가했다. 올해 누적 수입량은 21,648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18,911톤보다 14% 늘어난 수치이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 중 약 3%를 차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활 가리비가 5,741톤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8,496톤 대비 32% 증가했으며, 활 참돔은 4,420톤이 수입되어 전년 대비 8% 늘어났다. 냉동 큰 가리비는 이번에 2,380톤이 수입되었고, 활 방어는 전년 824톤 대비 대폭 증가한 2,130톤이 수입되었다. 활 큰 가리비도 1,631톤이 수입되며 새롭게 수입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중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USD 1,277만 달러로..
2024. 11. 14.
10월 칠레산 수산물 수입량 감소… 오징어 지느러미는 증가, 동체는 감소
2024년 10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칠레산 수산물 수입량이 전년 대비 크게 감소했다. 칠레산 수산물의 수입량은 2,505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3,537톤보다 29% 줄어든 수치다. 10월까지 누적된 수입량은 23,806톤으로, 전년 동기 25,082톤 대비 5% 감소했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의 3%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냉동 오징어 지느러미가 7,634톤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4,707톤 대비 62% 증가한 반면, 냉동 오징어 동체는 5,791톤으로 지난해 10,168톤보다 43% 감소했다. 냉동 은연어는 6,763톤이 수입되어 전년 5,580톤 대비 21% 증가했고, 냉동 대서양연어는 792톤으로 전년 799톤 대비 1% 감소했다. 냉동 자숙 홍합 살은 736톤..
2024. 11. 13.
10월 미국산 수산물 수입량 2% 증가...냉동 연어·임연수어 수입 대폭 상승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미국산 수산물이 2,989톤에 이르러 지난해 같은 달의 2,924톤 대비 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28,854톤으로, 전년 동기 31,010톤보다 7% 줄어들며 감소세를 보였다. 미국산 수산물은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732,192톤의 약 4%를 차지했다. 미국의 주요 수입 어종별로는 냉동 임연수어가 3,160톤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1,882톤 대비 68% 대폭 증가했다. 냉동 연어는 3,093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29톤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냉동 가오리 수입량은 2,875톤으로 전년 2,571톤 대비 12% 증가했으며, 냉동 각시가자미는 2,792톤으로 전년 동기 5,261톤 대비 47% 감소했다. 냉..
2024. 11. 12.
10월까지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 6% 감소… 대서양 연어는 큰 폭 증가
2024년 10월, 한국의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노르웨이산 수산물은 3,779톤으로, 지난해 같은 달의 3,112톤 대비 21% 증가했다. 그러나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54,853톤으로, 전년 동기 58,531톤에 비해 6% 감소했다. 노르웨이산 수산물은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의 7%를 차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냉동 고등어가 24,082톤 수입되었으며, 이는 지난해 동기 28,033톤에 비해 14% 감소한 수치다. 냉장 연어 수입량은 13,256톤으로 전년 동기 14,965톤에 비해 11% 줄었고, 냉장 연어 필렛은 3,799톤이 수입되어 4,003톤이었던 지난해 대비 5% 감소했다. 또한, 냉동 ..
2024. 11. 11.
2024년 11월 2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헤드라인 기사
■ 노르웨이, 고등어 수출단가 전년대비 23% 상승■ 흰다리새우, 베트남/에콰도르/말레이시아 현지시세 급등■ 미국, 알래스카 B시즌 명태 조업량 큰 폭으로 늘어…■ 노르웨이, 고등어단가 상승에 수출액 역대 최고치 갱신■ 러시아, 중국에 명태알 시장 개척 위한 계획 추진■ 한국의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10월까지 12% 줄어■ 부산국제수산엑스포, 11월 6일부터 3일간 개최■ 흰다리새우, 인도의 생산량 감소에 에콰도르산 가격 상승■ 러시아, 명태 필렛 포함 수산물 수출세 면세 시행 확정■ 바렌츠해, 대구 조업할당량 34만톤에 합의 , 최근 33년중 가장 적은 물량■ 일본, 냉동 가리비 수출량 4.7배 늘어난 7,000톤 집계 (9월■ 10월까지 수산물 수입량, 2023년대비 7% 감소■ 국내 꽁치 재고,..
2024. 11. 9.
2024년 10월까지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 9% 증가
2024년 10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베트남산 수산물 누적 수입량이 전년 대비 9% 증가했다. 1월부터 10월까지 수입된 베트남산 수산물은 총 45,415톤으로, 2023년 동기 수입량인 41,813톤을 웃돌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의 약 6%를 차지했다. 하지만 10월 한 달간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은 5,454톤으로, 전년 동기 6,049톤에 비해 10% 감소했으며, 수입 금액도 USD 2,591만 달러로 2023년 10월의 USD 3,262만 달러 대비 21% 하락했다. 누적 수입금액 역시 USD 2억 4,687만 달러로, 전년 동기 2억 5,074만 달러보다 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냉동 주꾸미 수입량이 18,305톤으로 전년 동기 16,217톤 대비 13% 증가..
2024. 11. 8.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감소… 2024년 10월까지 12% 줄어
2024년 10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러시아산 수산물의 누적 수입량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10월 중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은 23,817톤으로, 2023년 동기의 20,034톤에 비해 19% 증가했지만,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215,485톤으로, 전년 동기의 243,869톤보다 12% 감소했다. 이는 전체 국가에서 수입한 수산물 총량 732,192톤의 29%에 해당한다. 세부 품목별로 살펴보면, 냉동 명태는 120,161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고, 냉동 명태알은 14,328톤으로 8% 늘었다. 반면 냉동 청어는 12,328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했으며, 냉동 각시가자미는 11,029톤으로 4% 줄었다. 냉동 명태 곤이도 ..
2024. 11. 7.
2024년 10월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33% 증가
올해 10월 국내로 수입된 중국산 수산물이 22,182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의 16,659톤 대비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172,100톤으로 전년 동기 162,447톤 대비 6% 늘어났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 중 약 24%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수입 품목을 살펴보면 냉동 아귀의 경우 23,199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으며, 냉동 오징어는 14,945톤으로 5% 감소했다. 활 바지락은 13,780톤이 수입되며 24% 증가하였고, 활 돌비늘백합은 12,765톤으로 9% 증가했다. 반면 냉동 낙지는 11,848톤으로 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중국산 수산물의 10월 수입금액은 USD 8,514만 달러로, 전년 ..
2024. 11. 6.
2024년 10월 누적 주요 국가별 월간 수산물 수입현황
2024년 10월까지 수입된 수산물은 732,192톤이며 전년동기의 물량인 785,418톤과 비교하면 7%가 줄어든 물량이고 10월까지의 수입금액은 USD 32억 6,593만달러로 2023년의 USD 37억 3,848만달러와 비교하면 13%가 하락하였다. 러시아, 노르웨이, 미국, 칠레, 페루 등 5개국은 수입량이 감소하였고, 중국, 베트남, 일본, 대만, 멕시코 5개국은 수입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주요 국가별 수입량 증감 비율 (2023년>2024년 순서) 1. 러시아 12% 감소 (243,865톤>215,479톤)2. 중국 6% 증가 (162,445톤>172,103톤)3. 노르웨이 6% 감소 (58,531톤>54,853톤)4. 베트남 9% 증가 (41,812톤>45,417톤)5. 미국 7% 감소..
2024. 11. 5.
2024년 9월, 인도네시아 수산물 수입량 76% 증가
2024년 9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인도네시아 수산물의 수입량이 전년 대비 76% 증가한 1,162톤을 기록했으며, 이는 2023년 동기의 661톤에서 크게 상승한 수치다. 올해 9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9,396톤으로, 전년 동기 7,449톤보다 26%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651,137톤의 1%를 차지한다. 세부 품목별로는 건조 코토니가 2,632톤 수입되어 전년의 1,185톤 대비 122% 증가하며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건조 스피노잠은 2,164톤이 수입되어 전년 대비 20% 증가했고, 냉동 주꾸미는 668톤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건조 훈제 가다랑어는 660톤이 수입되어 전년의 522톤 대비 26% 증가했으며, 냉동 낙지는 538톤으로 전년의 628톤 대..
2024.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