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Yoy76

냉동 청어 수입량, 전년 대비 45% 감소 2024년 10월 기준 국내로 수입된 냉동 청어의 물량이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해 10월 냉동 청어 수입량은 363톤으로, 2023년 같은 기간의 1,288톤 대비 71.8%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12,401톤으로, 전년 동기 22,683톤 대비 45.3% 감소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732,192톤)의 1.7%를 차지하는 수치다.   국가별로는 러시아에서 99%에 해당하는 12,328톤이 수입되었으며, 이어 미얀마 66톤, 노르웨이 6톤, 방글라데시 1톤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단가는 러시아산이 USD 0.87/kg, 미얀마산이 USD 2.52/kg로 집계되었다.   10월 한 달 동안의 냉동 청어 수입금액은 USD 27만 달러로, 전년 동월의 .. 2024. 11. 26.
10월까지 말레이시아산 수산물 17% 감소 2024년 10월 중 국내로 수입된 말레이시아산 수산물은 592톤으로, 2023년 동기 수입량인 654톤 대비 9% 감소했다. 누적 수입량은 4,044톤으로 전년 동기 4,900톤보다 17% 줄어들었으며, 이는 전체 국가의 수입량 732,192톤의 1%를 차지한다.   주요 품목별 수입량냉동 얼룩새우: 1,750톤 (전년 동기 2,179톤 대비 20% 감소)냉동 흰다리새우: 1,049톤 (전년 동기 1,250톤 대비 15% 감소)냉동 갑오징어: 413톤 (전년 동기 269톤 대비 54% 증가)냉동 낙지: 366톤 (전년 동기 501톤 대비 27% 감소)   2024년 10월 중 말레이시아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USD 416만 달러로 전년 동기 USD 621만 달러 대비 33% 감소했다. 누적 수입금액은 .. 2024. 11. 25.
냉동 대구 곤이 수입량 88% 증가, 누적 수입량은 감소세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대구 곤이의 수입량이 64톤으로 집계되며, 지난해 동월 수입량 34톤 대비 8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올해 10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2,413톤으로 전년 동기 3,212톤에 비해 25% 감소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의 0.3%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10월까지 냉동 대구 곤이는 주요 수입국인 미국에서 55%에 해당하는 1,328톤이 수입되었으며, 그 외 러시아 775톤, 아이슬란드 188톤, 노르웨이 122톤 순으로 수입이 이루어졌다. 국가별 수입 단가는 미국이 USD 2.86/kg으로 가장 높았으며, 러시아 USD 2.14/kg, 아이슬란드 USD 1.81/kg, 노르웨이 USD 1.56/kg 순으로 나타났다.   2024년 10월까지.. 2024. 11. 25.
캐나다산 수산물 수입, 10월 중 11% 감소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캐나다산 수산물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 동안 캐나다산 수산물 수입량은 449톤으로, 전년 동기의 505톤에 비해 11% 감소했다. 그러나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4,119톤으로, 전년 동기 3,775톤 대비 11% 증가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732,192톤의 0.6%를 차지하는 규모다.   품목별로는 활 바다가재가 1,152톤으로 전년 동기의 1,290톤보다 11% 감소했다. 반면, 냉동 자숙 바다가재는 501톤이 수입되어 전년 288톤 대비 74% 증가했으며, 냉동 바다가재는 479톤으로 전년 279톤보다 72% 증가했다. 하지만 냉동 열빙어는 267톤으로 전년 동기 365톤 대비 27% 감소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 2024. 11. 22.
냉동 대구 수입량, 전년 대비 절반 감소 2024년 10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냉동 대구의 수입량이 전년 대비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냉동 대구는 504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수입량인 848톤에 비해 41% 감소한 수치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5,250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 수입량인 10,569톤보다 50%나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732,192톤의 0.72%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냉동 대구 수입량의 대부분은 러시아에서 들어왔다. 러시아산 냉동 대구는 전체 수입량의 96%인 5,029톤을 기록했으며, 이어 미국(125톤), 캐나다(75톤), 중국(20톤) 순으로 수입이 이루어졌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러시아가 USD 3.06/kg, 미국 USD 2.73/kg,.. 2024. 11. 22.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 및 수입금액 모두 감소 2024년 10월까지 국내로 들어온 태국산 수산물의 수입량과 수입금액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간 수입된 태국산 수산물은 1,017톤으로, 2023년 동기 1,141톤에 비해 11% 줄었다. 누적 수입량은 10,480톤으로 전년 동기 11,059톤 대비 5% 감소하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732,192톤)의 1%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냉동 주꾸미가 3,127톤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전년 대비 1% 감소했다. 염장 해파리는 3,000톤으로 4% 증가했으나, 냉동 흰다리새우살은 1,210톤으로 2%, 냉동 낙지는 630톤으로 22%, 냉동 갑오징어는 575톤으로 18% 각각 줄었다.   수입금액도 하락세를 보였다. 10월 중 태국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USD 695만 달.. 2024. 11. 21.
냉장 연어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수입 금액도 줄어 2024년 10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냉장 연어의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올해 10월 한 달간 수입된 냉장 연어는 총 1,226톤으로, 2023년 10월의 1,487톤보다 18% 줄어들었다. 누적 수입량은 13,487톤으로 전년 동기 15,496톤에 비해 13% 감소하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732,192톤)의 1.84%를 차지했다.   국가별로는 노르웨이산이 98%에 해당하는 13,256톤을 차지하며 주요 수입국으로 자리 잡았다. 그 외 캐나다(85톤), 호주(60톤), 칠레(57톤), 영국(29톤) 등에서도 냉장 연어가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노르웨이가 USD 12.97/kg으로 가장 높았고, 캐나다 USD 12.29/kg, 호주 USD 10.97/kg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 금액.. 2024. 11. 21.
10월 대만산 수산물 수입량 급증... 전년 대비 473% 증가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대만산 수산물이 5,830톤에 달하며 전년 동기의 1,017톤 대비 무려 47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수입량은 17,985톤으로 전년 동기 14,314톤 대비 26%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국가의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의 약 2%를 차지한다.   주요 품목별 수입 현황냉동 오징어: 6,245톤 수입, 전년 동기 1,849톤 대비 238% 증가냉동 꽁치: 6,188톤 수입, 전년 동기 6,769톤 대비 9% 감소냉동 황새치: 2,550톤 수입, 전년 동기 1,937톤 대비 32% 증가냉동 청상아리: 501톤 수입, 전년 동기 435톤 대비 15% 증가  수입금액 및 단가 상승2024년 10월 한 달간 대만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USD 1,816만 달러로 전.. 2024. 11. 20.
냉동 가오리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 수입금액은 증가세 2024년 10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냉동 가오리의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물 수입 통계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의 냉동 가오리 누적 수입량은 5,786톤으로, 2023년 동기의 5,902톤보다 소폭 감소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732,192톤의 0.8%를 차지하는 수치다. 하지만 10월 한 달간의 수입량은 716톤으로 2023년 같은 기간의 621톤 대비 15% 증가했다. 수입 주요 국가는 미국이 50%에 해당하는 2,875톤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아르헨티나가 23%인 1,330톤으로 뒤를 이었다. 인도네시아에서 320톤, 브라질 280톤, 베트남 244톤 등이 수입됐다.  수입 단가 및 금액 상승2024년 10월까지의 냉동 가오리 평균 수입 단가는.. 2024. 11. 20.
10월 필리핀산 수산물 수입량 10% 감소…금액은 12% 하락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필리핀산 수산물은 279톤으로, 전년 동기의 311톤보다 10% 감소했지만,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수입량은 2,255톤으로 전년 동기 2,133톤 대비 6% 증가하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 중 약 0.3%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냉동 자숙 문어가 1,307톤으로 전년 1,067톤 대비 22% 증가했으며, 냉동 자숙 전복살은 258톤으로 전년 462톤 대비 44% 감소했다. 냉동 자숙 문어 다리는 169톤으로 전년 110톤보다 54% 증가했고, 냉동 자숙 문어 슬라이스는 94톤으로 전년 55톤 대비 71% 증가를 기록했다.   2024년 10월 필리핀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USD 287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의 USD 403만 달러 대비 29% 감소했.. 2024. 11. 19.
10월 냉동 대구 목살 수입량 237% 급증…수입금액도 대폭 상승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대구 목살이 600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78톤 대비 무려 237% 증가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4,546톤에 달하며, 전년 동기 누적 수입량 4,058톤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 중 약 0.6%를 차지한다.   국가별 수입량을 살펴보면 러시아산이 전체의 79%에 해당하는 3,110톤으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 1,436톤은 미국산으로 집계됐다. 수입단가는 러시아산이 USD 2.69/kg, 미국산이 USD 3.38/kg에 형성되었다.   10월 중 냉동 대구 목살의 수입금액은 USD 148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USD 45만 달러 대비 224% 상승했다. 누적 수입금액 또한 USD .. 2024. 11. 19.
10월 냉동 명태곤이 수입량 15% 증가, 수입금액은 감소 2024년 10월, 국내 냉동 명태곤이 수입량이 증가했지만, 수입금액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 동안 냉동 명태곤이 수입량은 154톤으로, 전년 동기의 134톤 대비 15% 증가했다. 하지만 올해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9,691톤으로, 2023년 동기의 10,117톤보다 4% 감소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의 1.3%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주요 수입국은 러시아로, 전체의 95%에 해당하는 9,235톤이 수입되었으며, 나머지 456톤은 미국산이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러시아산이 USD 2.30/kg, 미국산이 USD 2.29/kg으로 집계됐다.   수입금액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10월 한 달 동안의 수입금액은 USD 32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USD 43만 달러.. 2024. 11. 18.
냉동 각시가자미 수입량 18% 감소…수입금액도 큰 폭 하락 2024년 10월까지 국내 냉동 각시가자미 수입량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 동안 국내에 수입된 냉동 각시가자미는 총 1,552톤으로, 이는 2023년 같은 기간 1,713톤 대비 9% 줄어든 수치다. 또한 올해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13,911톤으로 전년 동기 16,874톤 대비 18% 감소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의 2%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러시아가 전체의 79%에 해당하는 11,029톤을 차지했으며, 미국에서 2,792톤, 중국에서 90톤이 각각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러시아산이 USD 1.92/kg, 미국산 USD 2.13/kg, 중국산 USD 2.01/kg으로 나타났다.   냉동 각시가자미의 수입금액도 감.. 2024. 11. 18.
페루산 수산물 수입량 59% 급감, 10월까지 감소세 뚜렷 2024년 10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페루산 수산물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한 달간 페루산 수산물 수입량은 1,905톤으로 2023년 같은 시기 1,914톤 대비 소폭 감소했으며, 올해 누적 수입량은 23,511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7,932톤보다 59% 줄었다.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 중 약 3%에 해당한다.   품목별로는 냉동 오징어 지느러미가 9,127톤 수입되어 전년 동기 14,852톤 대비 39% 감소했으며, 냉동 자숙 오징어 동체는 8,421톤으로 전년 16,918톤보다 50% 줄어들었다. 또한, 냉동 오징어 다리는 3,045톤이 수입되어 지난해 같은 기간의 8,564톤 대비 64% 감소했다. 반면, 냉동 붕장어 필렛은 963톤으로 전년 .. 2024. 11. 15.
2024년 10월 냉동 갈치 수입량 54% 감소, 누적 11% 줄어 2024년 10월 국내에 수입된 냉동 갈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0월 한 달 동안 냉동 갈치 수입량은 585톤으로 2023년 동기의 1,282톤 대비 54% 줄었다.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수입량 역시 10,268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1,477톤보다 11% 감소했다. 이는 전체 수입량 732,192톤 중 약 1.4%를 차지하는 수치다.   10월까지의 수입량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세네갈에서 24%에 해당하는 2,476톤이 수입되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뒤로 오만 2,140톤(21%), 남아프리카공화국 1,252톤, 모로코 1,107톤, 에콰도르 844톤 순으로 이어졌다. 수입 단가를 기준으로 할 때, 중국산 냉동 갈치가 USD 5.69/kg.. 2024. 11. 15.
10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전년 대비 29% 증가…수입금액 64% 증가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이 2,152톤으로, 전년 동기의 1,669톤 대비 29% 증가했다. 올해 누적 수입량은 21,648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18,911톤보다 14% 늘어난 수치이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 중 약 3%를 차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활 가리비가 5,741톤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8,496톤 대비 32% 증가했으며, 활 참돔은 4,420톤이 수입되어 전년 대비 8% 늘어났다. 냉동 큰 가리비는 이번에 2,380톤이 수입되었고, 활 방어는 전년 824톤 대비 대폭 증가한 2,130톤이 수입되었다. 활 큰 가리비도 1,631톤이 수입되며 새롭게 수입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중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액은 USD 1,277만 달러로.. 2024. 11. 14.
냉동 흰다리새우 10월 수입량 전년 대비 32% 증가…수입금액은 감소세 2024년 10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흰다리새우 수입량이 617톤으로, 전년 같은 달의 468톤에 비해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0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5,236톤으로, 이는 2023년 동기 수입량인 5,540톤보다 5% 감소한 수치이다.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 중 냉동 흰다리새우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0.7%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에콰도르에서 3,080톤(59%)이 수입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말레이시아에서 1,205톤, 사우디아라비아 330톤, 베트남 319톤, 페루 302톤 순으로 수입이 이루어졌다. 국가별 수입 단가는 말레이시아가 kg당 USD 6.98로 가장 높았으며, 에콰도르 USD 5.97, 사우디아라비아 USD 4.89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2024. 11. 14.
10월 칠레산 수산물 수입량 감소… 오징어 지느러미는 증가, 동체는 감소 2024년 10월 한 달 동안 국내로 수입된 칠레산 수산물 수입량이 전년 대비 크게 감소했다. 칠레산 수산물의 수입량은 2,505톤으로, 이는 전년 동기 3,537톤보다 29% 줄어든 수치다. 10월까지 누적된 수입량은 23,806톤으로, 전년 동기 25,082톤 대비 5% 감소했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 732,192톤의 3%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냉동 오징어 지느러미가 7,634톤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4,707톤 대비 62% 증가한 반면, 냉동 오징어 동체는 5,791톤으로 지난해 10,168톤보다 43% 감소했다. 냉동 은연어는 6,763톤이 수입되어 전년 5,580톤 대비 21% 증가했고, 냉동 대서양연어는 792톤으로 전년 799톤 대비 1% 감소했다. 냉동 자숙 홍합 살은 736톤.. 2024. 1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