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2월 말까지 수산물 수입국가는 중국, 러시아, 대만, 베트남 등을 포함한 71개국(전년동기 66개국)으로 중국, 러시아, 대만, 베트남, 일본, 미국 등 상위 10개국에서 수입한 수산물 검사량이 124,673톤으로 전체 수입 수산물 검사량인 141,393톤의 약 8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물량이 증가한 국가는 러시아, 대만, 미국, 칠레, 태국 등이며 반면 수입물량이 감소한 국가는 중국, 베트남, 일본, 노르웨이 등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의 경우 수입실적은 총 39,936톤으로서 전년동기 36,280톤 대비 10% 증가한 실적이며, 주요 증가 어종은 냉동명태(31,023톤), 냉동임연수어(1,553톤), 냉동어란(명란)(928톤), 활게(대게)(809톤) 등이다.
대만의 경우 수입물량은 7,882톤으로서 전년동기 6,705톤 대비 18% 증가하였으며, 주요 증가 어종으로는 냉동꽁치, 냉동틸라피아(F,포장횟감), 냉동다랑어(황다랑어), 냉동다랑어(눈다랑어) 등이 있고, 미국의 수입실적은 5,074톤으로서 전년동기 3,473톤 대비 46% 증가한 실적이며, 주요 증가 어종은 냉동가자미(각시가자미), 냉동대구(머리), 냉동아귀, 냉동임연수어, 냉동어란(명란) 등으로 통계되었다.
칠레는 냉동오징어(지느러미), 냉동연어(대서양연어), 냉동오징어(다리) 등의 수입량이 증가하여 총 수입실적은 4,119톤으로 전년동기 3,758톤 대비 10% 증가하였다.
반면 수입물량이 감소한 국가 중 중국의 경우 총 수입실적은 47,359톤으로 전년동기 64,261톤 대비 26% 감소한 실적이며 주요 감소 품목은 냉동아귀(5,131톤), 냉동고등어(3,391톤), 냉동명태(F)(1,989톤), 냉동갈치(1,793톤) 등이고, 베트남의 수입물량은 6,784톤으로 전년동기 7,999톤과 비교하여 15% 감소한 실적으로 주요 감소 어종은 냉동주꾸미(2,563톤), 냉동갑오징어(536톤), 마른오징어(화살오징어)(186톤) 등으로 통계되었다.
일본의 경우 수입실적은 5,956톤으로서 전년동기 19,822톤 대비 70% 감소한 실적으로 주요 감소 어종은 냉장명태, 냉동고등어, 활돔(참돔), 활가리비 등이며, 노르웨이의 수입물량은 2,777톤으로 전년동기 3,394톤 대비 18% 감소한 실적으로 주요 감소 어종은 냉동고등어, 냉동연어(대서양연어) 등으로 나타났다.
** 보다 많은 자료는 http://www.forsea.co.kr
** 비공개로 설정된 블로그나 카페는 스크랩하지 마세요.
단, 공개된 블로그나 카페는 출처 기재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수입검사 관련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얀마 냉동 갑오징어 가격 (0) | 2012.04.18 |
---|---|
중국 냉동 활 주꾸미 가격 (0) | 2012.04.09 |
2012년 2월,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0) | 2012.04.04 |
캐나다산 방사능 검사계획 알림 (0) | 2012.02.17 |
11월 중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0) | 2012.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