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7월 말까지 수산물 수입국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을 포함한 79개국으로 중국, 러시아, 일본, 베트남, 미국, 노르웨이 등 상위 10개국에 수입한 수산물 검사량이 499,223톤으로 전체 수입 수산물 검사량인 564,431톤의 약 8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물량이 증가한 국가는 중국, 러시아, 베트남, 칠레, 미국 등이며 반면 수입물량이 감소한 국가는 일본, 대만, 태국, 아르헨티나, 세네갈 등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총 205,484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수입물량인 182,683톤과 비교하여 약 12% 증가하였고, 주요 증가 수입어종은 활바지락(20,230톤), 냉동고등어(10,496톤), 냉동명태(F)(7,765톤), 염장새우(젓새우)(5,077톤), 활미꾸라지(4,489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의 경우 수입실적은 136,148톤으로서 전년동기 131,245톤 대비 4% 증가한 실적이며, 주요 증가 어종은 냉동청어, 냉동곤이(명태), 냉동임연수어, 냉동대구, 냉동어란(명란) 등이다.
베트남의 경우 수입물량은 30,541톤으로서 전년동기 29,799톤 대비 2% 증가하였으며, 주요 증가 어종은 냉동주꾸미, 냉동갑오징어, 냉동새우살(홍다리얼룩새우), 냉동새우(홍다리얼룩새우), 냉동고둥(갯고둥,자숙) 등이 있고, 칠레의 수입실적은 22,625톤으로서 전년동기 5,977톤 대비 279% 증가한 실적이며, 주요 증가 어종은 냉동가자미(각시가자미), 냉동곤이(명태), 냉동대구(머리), 냉동곤이(대구), 냉동임연수어 등으로 통계되었다.
미국의 경우 수입실적은 21,179톤으로 전년동기 14,972톤 대비 41% 증가하였고, 주요 증가 어종은 냉동가자미(각시가자미), 냉동곤이(명태), 냉동대구(머리), 냉동곤이(대구), 냉동아귀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입물량이 감소한 국가 중 일본의 경우 총 수입실적은 34,444톤으로서 전년동기 48,805톤 대비 29% 감소한 실적으로 주요 감소 품목은 냉장명태, 냉동명태, 활돔(참돔), 냉장갈치, 활우렁쉥이 등이며, 대만의 수입물량은 12,891톤으로 전년동기 14,183톤과 비교하여 9% 감소한 실적으로 주요 감소 어종은 냉동새치(돛새치), 냉동기름치, 냉동새치(황새치), 냉동상어(청상아리), 냉동붉평치 등의 어종이 감소한데 기인하였다.
태국의 경우 수입실적은 9,015톤으로서 전년동기 10,160톤 대비 11% 감소한 실적으로 주요 감소 어종은 냉동새우(흰다리새우,자숙), 염장해파리, 냉동새우살(흰다리새우,자숙), 냉동낙지, 냉동새우살(흰다리새우) 등이 있고, 아르헨티나의 경우 수입물량은 3,712톤으로 전년동기 3,924톤 대비 5% 감소한 실적으로 주요 감소 어종은 냉동가오리, 냉동홍어, 냉동파타고니아이빨고기(목살), 냉동파타고니아이빨고기 등으로 나타났다.
세네갈은 냉동갈치, 냉동고둥살(위고둥,자숙), 냉동민어(영상가이석태) 등의 수입량이 감소하여 총 수입실적은 3,668톤으로 전년동기 4,224톤 대비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보다 많은 자료는 http://www.forsea.co.kr
** 비공개로 설정된 블로그나 카페는 스크랩하지 마세요.
단, 공개된 블로그나 카페는 출처 기재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수입검사 관련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종별 월간 수산물 부적합 현황 (0) | 2011.09.02 |
---|---|
7월,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0) | 2011.09.01 |
6월 국가별 수산물 수입검사 동향 (0) | 2011.07.28 |
6월,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0) | 2011.07.27 |
5월, 국가별 수산물 부적합 현황 (0) | 2011.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