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8월까지 647,887톤이 국내로 수입되었으며, 2022년 동기의 815,742톤 대비 21%가 줄었으며 수입금액은 USD 32억 692만 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33억 59만 달러 대비 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까지 수입량이 많은 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고등어, 냉동 오징어동체, 냉동 오징어, 냉동 아귀, 냉동 청어, 냉동 오징어지느러미, 냉동 주꾸미, 냉동 낙지순이었다.

전체 수입량의 13%를 냉동 명태가 차지하였으며 냉동 고등어 5.08%, 냉동 오징어동체 3.74%, 냉동 오징어 3.20%, 냉동 아귀 2.88%를 차지하였다.
주요어종별 수입물량의 변화는 하기와 같다.
구분 | 어종명/증감율/2022년 수입량>2023년 수입량 | |
증가한 어종 |
냉동 오징어 동체 48% 증가 (16,885톤>24,932톤)
냉동 아귀 수입량 8% 증가 (17,769톤>19,241톤)
냉동 오징어 지느러미 4% 증가 (16,222톤>16,836톤)
냉동 낙지 6% 증가 (14,386톤>15,219톤)
|
|
감소한 어종 |
냉동 명태 62% 감소 (243,394톤> 91,901톤)
냉동 고등어 9% 감소 (37,332톤>33,877톤)
냉동 오징어 10% 하락 (23,760톤>21,328톤)
냉동 청어 26% 감소 (24,351톤>18,256톤)
냉동 주꾸미15% 하락 (18,381톤>15,588톤)
냉동 자숙 오징어 동체 11% 감소 (10,913톤>14,594톤)
|
2023년 8월까지의 수입수산물의 평균 수입단가는 USD 4.95/키로에 형성되어 2022년의 USD 4.05/키로 대비 22.2%의 상승 폭을 보이고 있다.

수산물에 대한 설명과 유통/무역, 수출입업체, 수산물 동향, 수산물 통계등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싶으세요?
2000년, 부산에 설립된 수산전문사이트인 forsea의 관리업체인 "유니언포씨"에서 상담하세요.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라고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어종별 수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중 냉동 명태 수입량, 전년보다 68% 감소 (0) | 2023.09.08 |
---|---|
8월 중 냉동 고등어 수입량, 전년 대비 9% 하락 (0) | 2023.09.08 |
7월 중 냉동 얼룩새우 수입금액, 전년보다 6% 증가 (0) | 2023.08.16 |
7월 중 냉동 낙지 수입금액, 전년 동기 대비 12% 증 (0) | 2023.08.14 |
냉동 부세 수입량, 7월 중 전년 대비 62% 감소 (0) | 2023.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