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기준 국내로 수입된 냉동 갈치 물량이 전년 대비 60%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수산물 시장의 주요 수입 품목 중 하나인 냉동 갈치는 올해 2월 349톤이 수입되어, 2024년 동월의 880톤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1~2월 누적 수입량은 총 1,082톤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의 1,807톤보다 40% 감소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입 수산물 물량 152,793톤 중 단 0.7%에 불과한 수치다.
냉동 갈치의 주요 수입 국가는 오만이 306톤(28%)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남아프리카공화국(230톤, 21%), 베네수엘라(144톤), 세네갈(123톤), 모로코(120톤) 등이다.
국가별 수입 단가는 중국이 가장 높은 USD 5.50/kg를 기록했고, 오만은 USD 3.72/kg, 남아공은 USD 2.20/kg, 베네수엘라는 USD 3.51/kg 수준이었다.
수입 단가가 상승한 가운데, 2월중 갈치 수입금액은 USD 93만 달러로 전년 동기(USD 225만 달러) 대비 58% 줄었으며, 2월까지 누적 수입금액은 USD 361만 달러로 전년의 USD 543만 달러보다 33% 감소하였다.
참조로 국내에서 유통중인 냉동 갈치의 도매가격은 8키로 포장 기준으로 베네수엘라산 라운드70/900그램은 53,000원전후, 세네갈산 라운드 700/900그램은 71,000원선 전후에 형성 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수산물도매가격 부분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첨부된 이미지는 참조용으로 내용과는 상관이 없음
문서번호 : union-2025-0328-2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에 저작권이 있으며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고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에 연락하여 허가를 취득한 후에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11월 17일부터 적용)
현재 유통중인 수산물의 도매가격을 알고 싶나요? 이제는 쉽게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어종별 수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동 각시가자미, 2월 수입량 전년 대비 62% 증가 (0) | 2025.03.19 |
---|---|
냉동 대구곤이 수입량, 2024년 대비 43% 감소 (0) | 2025.03.18 |
2025년 1월, 한국의 냉동 자숙 문어 수입량 70% 증가 (0) | 2025.03.03 |
2025년 1월 국내 냉동 홍어 수입량 35% 감소 (1) | 2025.02.24 |
흰다리새우 수입량, 2025년 1월까지 전년 대비 30% 감소 (0) | 2025.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