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상반기,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 16% 줄어들어…
2023년 6월까지 노르웨이에서 수입된 수산물은 44,822톤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22년 동기의 53,629톤과 비교하여 16%가 줄어든 물량이다. 수입어종은 냉동 고등어, 냉장 연어, 냉동 고등어필렛, 냉동 대서양연어필렛 순이며 전체물량의 59%가 냉동 고등어, 냉장 대서양연어가 전체의 20.5%를 차지하는 주요 어종이다. 냉동 고등어의 경우, 2023년에 26,447톤이 들어와 2022년의 32,036톤 대비 17%가 줄었으며 냉장 대서양연어는 9,197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의 13,516톤과 비교하여 32%가 감소하였다. 냉동 고등어필렛은 3,047톤으로 전년대비 10%, 냉동 대서양연어는 672톤으로 전년대비 102%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수입단가를 보면 냉동 고등어(USD 2.2..
2023. 7. 19.
6월까지 냉동 흰다리새우살 수입금액, 전년보다 29% 증가
2023년 6월 중 수입된 냉동 흰다리새우살은 826톤으로 전년 동기 327톤 대비 153% 증가하였으며 누적 수입량의 경우 4,932톤이 수입되어 전년 1,911톤보다 158% 증가하였고,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531,674톤의 1%를 차지하고 있다. 6월까지 냉동 흰다리 새우살은 베트남에서 52%인 1,218톤이, 태국 730톤, 인도 259톤, 인도네시아에서 56톤 등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태국이 USD 12.32/kg 으로 가장 높게, 베트남 USD 8.73/kg, 인도 USD 10.62/kg, 페루 USD 9.09/kg, 미얀마 USD 8.67/kg, 인도네시아 USD 6.07/kg으로 가장 낮게 형성 되었다. 6월 중 냉동 흰다리새우살의 수입금액은 USD 757만 달러로 전년 ..
2023. 7. 18.
6월 중 냉동 문어 수입금액, 39% 전년 대비 하락
2023년 6월 중 수입된 냉동 문어는 182톤으로 전년 동기 287톤 대비 37% 하락하였고 누적 수입량은 1,751톤으로 전년 1,239톤 보다 41% 증가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531,674톤의 0.33%를 차지하고 있다. 6월까지 냉동 문어는 모리타니에서 전체 물량의 78%인 1,383톤이, 마다가스카르 121톤, 인도네시아 96톤, 세네갈에서 68톤 등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모리타니가 USD 9.47/Kg로 가장 높은 가격에, 마다가스카르 USD 6.44/Kg, 인도네시아 USD 5.94/Kg, 세네갈 USD 5.25/Kg 등으로 나타났고 평균 수입단가는 USD 8.77/kg으로 전년 USD 10.17/kg 대비 14% 하락하였다. 6월 중 수입금액은 USD 152만 달러..
2023. 7. 17.
2023년 7월 3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뉴스
뉴질랜드, 7월 9일 EU와 FTA 체결하고 2024년 1분기 발효 2023년 상반기, 한국행 노르웨이 수산물 수출량 16% 줄어… 노르웨이/칠레/스코틀랜드 연어 가격 모두 상승 태국, 양식 흰다리새우 7월 2주차에도 보합세 유지 에콰도르 만타의 냉동 가다랑어 가격 상승 2023년 상반기, 아르헨티나산 수산물 수입량 25% 감소 말레이시아, 국게식품/음료 무역박람회 7월 12일 오픈 러시아, 일본의 핵 오염수 방류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감독 강화 예정 인도네시아, 참치 생산량 증가 시키기 위해 양식업 확대 전망 한국행 스페인산 수산물, 참다랑어 수출량 증가로 인해 45% 늘어….. 식약처, 새우 포함된 기타수산물 가공품에 동물용의약품 검사 7월 17일 실시 미국, 러시아 수산물 수입 차단하는 강력한 법..
2023. 7. 16.
6월 중 냉동 임연수어 수입금액, 22% 증가
2023년 6월 중 수입된 냉동 임연수어는 813톤으로 전년 동기 704톤 대비 15% 증가하였고, 누적 수입량은 6,382톤으로 전년 7,177톤 대비 11% 하락하였으며 이는 531,674톤의 1.05% 를 차지하고 있다. 6월까지 냉동 임연수어는 러시아에서 86%를 차지하는 5,497톤이, 미국에서 889톤이 수입되었다. 6월까지 냉동 임연수어의 국가별 수입단가는 미국이 USD 2.54/kg으로 가장 높고, 러시아는 USD 2.29/kg으로 형성되었고 평균 수입단가는 USD 2.33/kg 으로 전년 USD 1.97/kg보다 1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중 수입금액은 USD 203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USD 166만 달러 대비 22% 증가하였고, 누적 수입금액은 USD 1,484만 달러로 ..
2023. 7. 14.
6월중 냉동 대구 수입금액, 전년 대비 70% 감소
2023년 6월 중 수입된 냉동 대구는 724톤으로 전년 동기 1,651톤 대비 56% 하락하였으며 누적 수입량은 7,549톤이 수입되어 전년 15,677톤 대비 52% 감소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531,674톤의 1.42%를 차지하고 있다. 6월까지 수입된 냉동 대구는 러시아에서 전체의 98.5%인 7,434톤, 미국 55톤, 캐나다 37톤, 중국에서 23톤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러시아 USD 4.09/kg, 미국 USD 1.38/kg, 캐나다 USD 1.86/kg으로 형성되었고 평균 수입단가는 USD 4.04/kg으로 전년 동기USD 4.17/kg 대비 3% 하락하였다. 6월 중 수입금액은 USD 241만 달러로 전년 USD 802만 달러보다 70% 줄어들었고 누적 수입금액은 ..
2023. 7. 13.
6월 중 냉동 갑오징어 수입량, 전년보다 8% 하락
2023년 6월 중 수입된 냉동 갑오징어는 499톤으로 전년 동기 461톤 대비 8% 증가하였고, 누적 수입량은 2,171톤으로 전년 2,415톤 대비 10% 감소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531,674톤의 0.4%를 차지하고 있다. 6월까지 냉동 갑오징어는 베트남에서 1,152톤, 태국 346톤, 인도네시아 258톤, 소말리아 130톤, 세네갈 123톤 등이 수입되었다. 냉동 갑오징어의 국가별 수입단가는 태국 USD 9.61/Kg로 가장 높은 단가에, 베트남 USD 6.13/Kg, 인도네시아 USD 7.40/Kg, 말레이시아 USD 6.01/kg, 세네갈 USD 1.17/kg로 가장 낮은 단가에 수입되었다. 6월 중 수입금액은 USD 258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USD 318만 달러 대비 19..
2023. 7. 10.
2023년 7월 2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뉴스 기사
노르웨이, 북해 청어 어획량 2022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져…아이슬란드, 2023년 고등어 조업 시즌 시작냉동 얼룩새우, 한국의 수입량 지난 5월까지 8% 늘어나…미국, B시즌 명태 생산량 2022년 동기대비 3.35% 줄어… 베트남, 양식 흰다리새우 현지시세 5월보다 6월에 더 떨어져…태국, 흰다리새우 6월 마지막주에도 여전히 보합세 유지중국, 현지 틸라피아 양식업체 시장의 수요 감소로 가격 하락한국의 홍어수입량, 지난 2022년대비 6% 증가한 1,823톤 베트남, 흰다리새우수출은 늘었지만 수출..
2023. 7. 8.
6월 냉동 각시가자미, 전년 대비 38% 증가
2023년 6월 중 냉동 각시가자미는 1,826톤이 수입되어 전년 1,327톤 대비 38% 증가하였고 누적 수입량은 10,909톤으로 전년 동기 7,957톤보다 37% 상승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531,674톤의 2%를 차지하고 있다. 6월까지 각시가자미는 러시아에서 63.3%인 6,888톤이, 미국 3,901톤, 중국에서 90톤이 수입되었다. 냉동 각시가자미의 국가별 수입단가는 중국이 USD 2.56/kg으로 가장 높게, 러시아 USD 2.51/kg, 미국 USD 1.88/kg으로 가장 낮게 형성되었으며 평균 수입단가는 USD 2.43/kg으로 전년 USD 2.22/kg 으로 2.5% 증가하였다. 6월 중 수입금액은 USD 444만 달러로 전년 USD 295만 달러 대비 51% 증가하였으며..
2023. 7. 6.
냉동 갈치 수입량, 전년 대비 11% 증가
2023년 6월 중 수입된 냉동 갈치는 1,078톤으로 전년 동기 969톤 대비 11% 증가하였으며 누적 수입량은 7,518톤으로 전년 5,329톤보다 41% 상승하였고,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531,674톤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6월까지 냉동 갈치는 모로코에서 2,278톤이, 세네갈에서 1,256톤, 에콰도르 1,134톤, 오만 540톤, 남아공에서 393톤 등이 수입되었다. 냉동 갈치의 국가별 수입단가는 일본이 USD 8.50/kg으로 가장 높게, 모로코 USD 2.97/kg, 에콰도르 USD 2.27/kg, 오만 USD 4.26/kg, 세네갈이 USD 1.92/kg으로 가장 낮게 형성되었고 평균 수입단가는 USD 3.18/kg으로 전년 USD 3.41/kg 대비 7% 하락하였다. 6월 중 수..
2023. 7. 5.
6월까지 냉동 명태 수입량, 전년 대비 55% 감소
2023년 6월 중 냉동 명태 수입량은 9,289톤으로 전년 31,807톤 대비 71% 감소하였고 누적 수입량은 78,415톤으로 전년 동기 172,477톤 대비 55% 줄어들었으며 이는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531,674톤의 14.7%를 차지하고 있다. 6월까지 냉동 명태는 러시아에서 75,060톤, 미국 3,239톤, 캐나다에서 117톤 수입되었으며 전년에는 중국의 수입량도 있었다. 국가별 수입단가는 미국 USD 1.45/kg로 가장 높게, 러시아 USD 1.08/kg, 캐나다 USD 1.21/kg 으로 나타났고 평균 수입단가는 USD 1.09/kg으로 전년 USD 1.23/kg 대비 11% 감소하였다. 6월 중 냉동 명태의 수입금액은 USD 426만 달러로 전년 동기 USD 2,089만 달러 대비 ..
2023. 7. 4.
페루산, 냉동 대왕오징어류 수입물량 큰 폭으로 늘어...
2023년 6월까지 페루에서 수입된 수산물은 42,989톤으로 202년 동기의 22,266톤 대비 93%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수입어종인 냉동 대왕오징어류의 크게 늘어났는데, 수입량이 가장 많은 냉동자숙 대왕오징어(다루마)의 경우, 11,927톤이 들어와 2022년의 7,326톤 대비 63%가 증가하였고, 2번째인 냉동 대왕오징어동체는 11,228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의 1,805톤 대비 528%가 늘어났다. 냉동 오징어류의 수입물량은41,055톤으로 페루산 전체수입량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단가를 보면 냉동자숙 대왕오징어동체는 USD 4.43/키로, 냉동 대왕오징어 동체는 USD 1.82/키로, 냉동 대왕오징어지느러미는 USD 1.53/키로 그리고 냉동 대왕오징어다리..
2023.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