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중 냉동 오징어동체 수입금액 15% 상승
10월까지 수입된 수산물은 총 976,967톤이며 이중 냉동 오징어 동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1.91% 로 18,689톤이 수입되었으며 2021년도의 경우 17,664톤이 수입되어 849,769톤 중 2.08%로 나타났다. 10월 중 냉동 오징어 동체 수입량은 2,016톤으로 전년 1,754톤 대비 15% 상승세를 보였으며 누적 수입량은 20,750톤으로 전년 17,575톤 대비 18% 상승하였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10월 평균 수입량은 2,345톤이며 6년 중 냉동 오징어 동체는 2018년에 25,483톤으로 가장 많이 수입되었고 2021년에 17,575톤으로 가장 적은 물량이 들어왔다. 냉동 오징어 동체 주요 수입국가는 중국, 칠레, 페루,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등을 포함한 8개국이며, 중..
2022. 11. 28.
세네갈산 냉동 갈치 수입량 감소....
지난 10월까지의 세네갈산 수산물의 수입물량을 보면, 주요 수입어종인 냉동 갈치의 수입량은 늘고, 냉동 자숙 위고둥살의 수입은 늘어났다. 통계를 보면, 10월까지 세네갈에서 6,688톤의 수산물이 들어왔으며 이중 냉동 갈치가 전체수입량의 62%를 차지하는 주요 어종으로 2022년 3,964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5,261톤 대비 25%가 줄어들었다. 2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자숙 위고둥살은 전체 수입량의 20%를 차지한 1,345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1,117톤 대비 20%의 수입량 증가폭을 보이고 있으며, 3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영상가이석태는 585톤이 수입, 전년동기 대비 5%가 늘어났다. 기타 수입어종으로는 냉동 서대, 냉동 문어와 냉동 긴가이석태등이 있으며 2022년부터 수입이 되기 ..
2022. 11. 27.
말레이시아산 새우류 수입늘고, 연체류는 줄고….
지난 10월까지 말레이시아산 수산물 동향을 보면, 새우류의 수입량은 증가하고 연체류는 대체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까지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된 수산물은 4,758톤으로 2021년 동기의 4,947톤 대비 4%가 줄어 들었으며 주요 수입어종인 냉동 흰다리새우는 9%, 냉동 얼룩새우는 11%가 늘어났다. 수입량이 제일 많아 전체 수입량의 43%를 차지하는 냉동 흰다리새우는 2,012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1,842톤 대비 9%가 늘어났으며 2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얼룩새우는 1,734톤이 수입되어 전년의 1,562톤과 비교하여 11%가 증가하였으며 전체 수입량중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80%를 넘고 있다. 3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낙지는 472톤으로 22%가 감소, 냉동 갑오징도 17..
2022. 11. 20.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전반적으로 감소
2022년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이 4% 감소하였으며 주요 수입어종인 냉동 아귀와 냉동 오징어의 수입량도 줄어든 것으로 집계되었다. 10월말 누계로 수입된 물량은 163,755톤으로 2021년 동기의 169,844톤 대비 4%가 감소하였으며 전체 수입량 976톤967톤중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17%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산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아귀, 냉동 오징어, 냉동 오징어동체, 활 바지락, 활 백합과 냉동 낙지 순이며 수입량이 가장많은 냉동 아귀는 20,003톤이 수입되었는데 이는 2021년의 23,917톤 대비 16%가 줄어들었다. 2번째로 많은 냉동 오징어는 14,654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15,987톤 대비 8%가 감소하였다. 수입량이 증가한 어종은 냉동 오징어동체로 12,205톤이 들어와..
2022. 11. 16.
10월까지,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13% 늘어..
지난 10월까지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이 늘어났으며 활 가리비와 활 참돔의 수입이 증가한 나타났다. 10월말 기준으로 21,686톤의 수산물이 일본에서 들어왔는데, 이는 2021년 동기의 19,177톤 대비 13%가 늘어난 수치이며 특히, 활 가리비의 수입량이 증가하여 전체 수입물량의 50%까지 차지하고 있다. 활 가리비는 9,677톤이 들어와 2021년 동기의 7,901톤 대비 22%가 늘어났으며 2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활 참돔은 4,314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의 3,850톤 대비 12%가 증가하였으며 전체 수입량의 21.8%를 차지하였다. 반대로 활 멍게는 1,457톤이 들어와 7%가 감소하였으며 냉장 명태 6%, 활 방어 21%, 냉장 홍어는 9%가 수입량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
2022. 11. 13.
노르웨이산 냉동 고등어 / 냉장 연어 수입량 감소
2022년 10월까지 노르웨이산 수산물의 수입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에 따르면 10월까지의 수입된 물량은 66,407톤으로 2021년 동기의 74,889톤과 대비하여 11%가 줄어 들었으며 전체 수산물 수입량 976,967톤 중 노르웨이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로 집계되었다. 노르웨이의 주요 수입어종은 고등어, 연어, 대서양큰붉은볼락순이며 냉동 고등어가 전체의 49.5%를 차지하고 있다. 냉동 고등어의 수입량은 32,570톤으로 2021년의 37,376톤 대비 13%가 감소하였으며 2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장 연어는 19,579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23,529톤 대비 16%가 줄어들었다. 3번째로 많은 냉장 연어 필렛은 4,955톤이 수입되어 2021년 대비 2%가 늘어났으며 냉동 고등어필렛..
2022. 11. 12.
베트남산 밴댕이/갑오징어 수입물량 늘어…
2022년 10월까지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이 늘어났으며 특히, 건조 밴댕이, 냉동 갑오징어와 냉동 낙지의 수입량이 특히 증가하였다. 10월까지 수입된 물량은 44,955톤으로 2021년 동기의 41,282톤 대비 9%가 늘어났으며 수입금액은 USD 3억 70만달러로 2021년의 USD 2억 4,740만달러 대비 22%가 증가하였고, 전체 수입량인 976,967톤 중 베트남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5%를 차지하고 있다. 수입량이 증가한 어종으로는 건조 밴댕이, 냉동 갑오징어, 냉동 낙지, 염장 젓새우등이 있으며 건조 밴댕이의 경우, 1,404톤이 수입되어 전년의 742톤 대비 89%가 늘어났다. 냉동 갑오징어는 2,392톤이 들어와 2021년 대비 13%가 증가하였으며 냉동 낙지는 4,564톤이 수입되어 1..
2022. 11. 9.
러시아, 명태 어획량 20만톤이상 늘어….
러시아 연방수산청에 따르면 2022년 러시아의 수산물 총 생산량은 410만톤으로 집계되었다. (2022년 11월 1일 기준) 극동조업 해역에의 생산량은 300만톤으로 이중 명태 어획량은 170만톤으로 2021년 대비 206,000톤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태평양 청어의 어획량은 353,800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59,300톤이 늘어났으며 태평양 연어의 조업량은 270,500톤으로 집계되었다. 러시아 북부조업 해역의 어획량은 435,000톤으로 이중 대서양 대구의 어획량은 288,700톤이었으며 러시아 서부조업 해역에서는 61,600톤이 생산되었으며 이중 발트해 청어는 19,300톤이 포함되어 있다. 수산물에 대한 설명과 유통/무역, 수출입업체, 수산물 동향, 수산물 통계등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싶으세요? ..
2022.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