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2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수산물의 주요 원산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베트남 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기간 동안 전체 수입검사 실적은 총 1,046,457톤에 달하여 전년동기 실적인 1,007,860톤 대비 약 3.83%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2011년 12월 말까지 총 829개의 품종의 수산물이 수입되었으며, 가장 높은 검사량을 기록한 주요 품종은 냉동명태, 냉동고등어, 냉동꽁치, 냉동낙지, 활바지락, 냉동조기(참조기) 등이 있다.
위와 같은 검사실적 상위 10개 품종의 물량만 520,460톤에 달하며, 전체 수입검사량(1,046,457톤) 중 약 49.7%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통계되었다.
전년대비 수입물량이 증가한 주요 어종은 냉동고등어, 냉장연어, 마른명태, 염장새우(젓새우), 활미꾸라지 등이며 품목별 동향은 아래와 같다.
냉동고등어는 총 54,590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42,437톤에 비해 약 29% 증가, 냉장연어는 2,672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2,379톤과 비교하여 약 12% 증가, 마른명태의 수입량은 1,673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약 18% 증가, 염장새우(젓새우)는 19,614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대비 약 43% 증가, 활미꾸라지는 8,193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에 비해 약 1% 증가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반면 수입물량이 감소한 주요 어종은 냉동명태, 냉장명태, 마른새우, 염장해파리(다리), 활바지락 등이 있으며 품목별 동향은 아래와 같다.
냉동명태는 총 215,028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215,960톤에 비해 약 0.4% 감소, 냉장명태는 9,218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16,007톤과 비교하여 약 42% 감소, 마른새우의 수입량은 2,792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약 15% 감소, 염장해파리(다리)는 258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대비 약 40% 감소, 활바지락은 33,880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대비 약 1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보다 많은 자료는 http://www.forsea.co.kr
** 비공개로 설정된 블로그나 카페는 스크랩하지 마세요.
단, 공개된 블로그나 카페는 출처 기재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수입검사 관련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종별 수산물 월간 부적합 현황 (0) | 2012.02.07 |
---|---|
국가별 수산물 월간 부적합 현황 (0) | 2012.02.06 |
국가별 수산물 수입검사 동향 (0) | 2012.01.02 |
11월 중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0) | 2011.12.28 |
중국 냉동 아귀 가격 (0) | 2011.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