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2월까지 수산물 수입국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을 포함한 90개국(전년동기 88개국)으로 수입한 부적합 검사량(2,498톤)이 전체 수입검사량(1,046,457톤)의 약 0.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통계되었으며 전년동기 2,030톤 대비 약 23.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합 검사량이 증가한 국가는 중국, 대만, 사우디아라비아, 베트남, 에콰도르 등이며, 감소한 국가는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 태국 등으로 통계되었다.
중국의 부적합 실적은 1,157톤으로 전년동기 1,120톤 대비 약 3% 증가하였으며, 주 부적합 품종은 냉동아귀, 냉동낙지, 냉동오징어(동체), 냉동오징어(지느러미) 등으로 나타났다.
대만의 경우 부적합 실적은 483톤으로 전년동기 244톤 대비 약 98% 증가하였으며, 주요 부적합 품종은 냉동틸라피아(F,포장횟감), 냉동농어(F,포장횟감), 냉동틸라피아(S,포장횟감)으로 통계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부적합 실적은 225톤으로 전년동기 부적합 실적은 없었으며, 냉동새우(흰다리새우)에서 부적합이 전량 발생하였고, 베트남의 부적합 실적은 129톤으로 전년동기 107톤 대비 약 20% 증가하였으며, 주요 부적합은 냉동메기(PANGASIUS메기,F,포장횟감), 냉동새우살(흰다리새우,자숙,포장횟감), 냉동새우살(흰다리새우,자숙,포장횟감), 염장새우(젓새우) 등에서 발생하였다.
에콰도르의 경우 부적합 실적은 77톤으로서 전년동기 19톤 대비 약 304% 증가하였으며, 주 부적합 품종은 냉동새우(흰다리새우)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적합 검사량이 감소한 일본의 실적은 79톤으로서 전년동기 130톤 대비 약 40% 감소하였고, 부적합 품종은 냉동복어(검복), 활장어(먹장어), 냉동상어(진환도상어,F) 등으로 통계되었으며, 말레이시아의 부적합 실적은 54톤으로 58톤이 발생하였던 전년과 비교하여 약 8% 감소하였고 부적합은 냉동새우(흰다리새우), 냉동고둥(피뿔고둥,자숙), 냉동새우살(흰다리새우,자숙)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의 경우 부적합 실적은 22톤으로 전년동기 32톤 대비 약 30% 감소하였고, 부적합은 염장새우(젓새우)에서 전량 발생하였으며, 태국의 부적합 실적은 8톤으로 전년동기 16톤 대비 약 52% 감소하였고 주요 부적합 품종은 냉동새우(홍다리얼룩새우), 냉동오징어(화살오징어,S,포장횟감) 등으로 통계되었다.
** 보다 많은 자료는 http://www.forsea.co.kr
** 비공개로 설정된 블로그나 카페는 스크랩하지 마세요.
단, 공개된 블로그나 카페는 출처 기재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수입검사 관련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중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0) | 2012.02.10 |
---|---|
어종별 수산물 월간 부적합 현황 (0) | 2012.02.07 |
2011년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0) | 2012.02.03 |
국가별 수산물 수입검사 동향 (0) | 2012.01.02 |
11월 중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0) | 2011.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