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기업들은 자국 국적의 선박을 활용해 남극해에서 크릴을 어획하고, 선상에서 즉시 가공해 오메가-3 오일을 추출한 뒤 수출할 방침이다. 인도 정부는 이와 관련하여 남극 조약 체제 및 2022년 제정된 『인도 남극법』에 따라 관련 법적 절차를 이행 중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이번 조업이 남극 생태계에 미칠 잠재적 피해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크릴은 펭귄, 바다표범, 고래 등 남극 해양 생물의 주요 먹이원이자 생태계 피라미드의 기초를 이루는 핵심 종으로, 무분별한 남획은 상위 포식자의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더불어, 기후변화로 인한 해빙 감소와 해양 산성화는 크릴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는 현재 크릴 조업을 규제하고 일부 지역에 해양보호구역(MPA)을 설정했지만, 보호구역 확대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호 조치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크릴은 남극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종으로, 펭귄, 바다표범, 고래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의 주된 먹이원이다.
또한, 크릴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여 건강 보조식품과 양식 사료의 원료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남극 크릴의 영어명은 Antarctic Krill, 학명은 Euphausia superba이다.
문서번호 : union-2025-0516-3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에 저작권이 있으며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고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에 연락하여 허가를 취득한 후에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11월 17일부터 적용)
현재 유통중인 수산물의 도매가격을 알고 싶나요? 이제는 쉽게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별 수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산 수산물, 한국 시장서 '폭풍 성장' (6) | 2025.05.19 |
---|---|
2025년 4월,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 14% 줄어 (0) | 2025.05.19 |
4월까지 노르웨이산 수산물 수입량 19% 증가…금액은 7% 상승 (2) | 2025.05.16 |
미국산 2025년도 수산물 수입, 전년 대비 33% 감소 (0) | 2025.05.13 |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4월 중 10% 증가…전체 수입의 25% 차지 (0) | 2025.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