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별 수산기사1184

말레이시아 수입물량 전년대비 38% 감소 2020년 1월 말까지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392톤으로 전년동기 633톤 대비 약 38%가 감소하였으며,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85,202톤으로 이 중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된 물량은 392톤으로 전체 수입 물량의 0.5%를 차지하였다.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많이 수입되는 주요 어종은 냉동홍다리얼룩새우로 130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200톤 대비 약 35%가 감소하였으며, 냉동흰다리새우는 128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302톤 대비 약 57%가 감소...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2020. 2. 21.
중국, 명태 필렛(포) 수출량 10.4% 증가 지난 2019년 중국에서 수출한 냉동 명태 필렛(포)는 총 265,472톤으로 2018년의 240,309톤 대비 약 10.4%의 증가량을 보였으며 평균 수출단가도 USD 3.01/키로에 형성되어 전년 동기의 USD 2.62/키로 대비 약 14%의 상승폭을 보였다. 주요 수출국가는 독일으로 전체물량의 약 46%에 해당하는 123,090톤을 수출하였으며 미국 28,341톤(10%), 영국 17,842톤, 한국 17,605톤, 프랑스 17,566톤순이며 일본으로 USD 4.81/키로에 수출하여 가장 높은 가격으로 수출되었으며 영국 USD 3.20/키로, 미국 USD 2.88/키로에 형성되었다. 참조로 중국은 2019년에 685,943톤의 명태를 수입하였으며 러시아로부터 636,109톤, 미국에서 32,084톤.. 2020. 2. 15.
2019년도 어업생산량 9.7% 감소 해양수산부의 보도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의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914,000톤으로 2018년의 1,013,000톤에 비하여 9.7%(약10만톤)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172,000톤, 고등어 101,000톤, 오징어 52,000톤, 갈치/전갱이 각각 43,000톤, 삼치 38,000톤, 참조기 26,000톤으로 집계되었다. 전갱이, 가자미류, 삼치등은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멸치, 오징어, 갈치, 참조기, 청어, 꽃게는 전년수준이며 고등어, 붉은대게는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문서번호 : union-2020-0213-1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2020. 2. 13.
2019년, 칠레 수산물 부적합 발생 총 4건 2019년 12월까지 칠레에서 수입된 수산물의 부적합 4건 발생하였으며, 부적합 물량은 약 47.49톤이며, 금액으로는 USD 132,400달러가 발생하였다. 이는 전년동기 부적합 4건 발생 대비 동일한 수치이다. 주요 부적합 어종으로는 냉동오징어(동체)1건, 냉동오징어(지느러미)2건, 냉동해...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웹사이트 http://www.forsea.co.kr “ 라고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 2. 12.
러시아, 2019년 수산물 수입량의 20% 차지 2019년 12월까지 러시아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211,727톤으로 전년동기 260,554톤 대비 약 18% 감소하였으며,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1,030,189톤으로 이 중 러시아에서 수입된 물량은 211,727톤으로 전체 수입 물량의 약 20.6%를 차지하였다.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수입되는 주요 어종은 냉동명태로 118,188톤이 수입되어, 전년 187,716톤 대비 약 37% 감소하였으며, 냉동대구는 17,685톤이 수입되어, 전년 11,186톤 대비 약 58% 증가....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2020. 2. 11.
칠레산 수산물, 위생증명서 발급 의무화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 따르면, 2020년 3월 27일이후 선적되는 칠레산 수산물(양식/활수산/단순가공 포함)을 한국으로 수출할 경우에는 칠레 수산양식청에 등록된 제조업체가 생산한 제품이어야 하며, 해당 기관에 발급한 위생증명서를 발급 받아야 한국에서 수입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수산물의 포장에는 등록 제조업체명과 등록번호등의 정보가 인쇄되거나 표기가 반드시 되어야 한다. 참조로 수산물의 포장에 등록제조업체명 및 등록번호를 기재해야 하는 국가로는 중국,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와 러시아등이 있다. 칠레에서 한국으로 수입되는 주요 수산물은 대서양 연어, 오징어, 홍합등이다. 문서번호 : union-2020-0211-4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2020. 2. 11.
중국, 2019년도 수산물수입량 역대 최대 지난 2019년 중국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총 4,437,422톤으로 역대 최대의 물량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중국의 2019년 수입량은 4,437,422톤이며 수입금액은 USD 157억 4,900만달러, 평균 수입단가는 USD 3.55/키로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8년의 수산물 수입량인 3,391,299톤 대비 30.8%가 증가한 수치이며 수입금액(USD 119억 2,000만달러)도 32%가 늘어났다. 10년전인 2009년의 수입량인 2,231,744톤과 비교하면 수입물량은 98.8%가 증가한 수치이다. 문서번호 : union-2020-2010-2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2020. 2. 10.
2019년, 일본 수산물 부적합 발생 총 26건 2019년 12월까지 일본에서 수입된 수산물의 부적합 26건 발생하였으며, 부적합 물량은 약 62.41톤이며, 금액으로는 USD 703,950달러가 발생하였다. 이는 전년동기 부적합 15건 발생 대비 73%가 증가한 수치이다. 주요 부적합 어종으로는 냉동다랑어(참다랑어,목살,횟감)6건, 냉동다랑어(참다랑어, F, 횟감)3건, 냉동복어(검복)1건, 냉동다랑어(참다랑어,턱살,횟감)3건, 냉동다랑어(참다랑어,볼살,횟감)3건....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웹사이트 http:.. 2020. 2. 7.
1월의 국가별 수산물 수입동향 2020년 1월에 수입된 수산물은 총 85,022톤으로 2019년 1월 96,132톤 대비 11%가 감소하였으며, 수입금액도 19%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수입국가는 중국, 러시아, 노르웨이, 대만, 베트남, 미국등이며 전체물량의 50%이상을 중국과 러시아에서 가져오고 있다. 수입량이 감소한 국가는 중.. 2020. 2. 6.
2019년, 베트남 수산물 부적합 발생 총 13건 2019년 12월까지 베트남 수산물의 부적합 13건 발생하였고, 부적합 물량은 약 70톤, 금액은 USD 329,480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부적합 13건 발생 대비 동일한 수치이다. 주요 부적합 어종으로는 냉동새우살(흰다리새우)3건, 냉동새우살(흰다리새우,자숙)3건, 냉동새우살(흰다리새.. 2020. 2. 6.
미국, 명태/각시가자미순으로 수입되어... 2019년 12월까지 미국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43,860톤으로 전년동기 42,941톤 대비 약 2%가 증가하였으며,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1,030,189톤으로 이 중 미국에서 수입된 물량은 43,860톤으로 전체 수입 물량의 4.3%를 차지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미국에서 가장 많이 수입된 어종.. 2020. 2. 5.
중국, 코로나 바이러스 발병으로 수출업체 어려움 직면 중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발병의 영향으로 수산물을 수출하던 해외수출업체도 어려움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영국과 아일랜드는 많은 물량의 활 브라운 크랩을 보내고 있지만 이번 사태로 인하여 주문이 줄어 이윤이 적은 냉동상태로 작업을 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칠레와.. 2020. 2. 2.
필리핀산 새꼬막살 수입량 급증 2019년 12월말까지 필리핀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2,620톤으로 전년동기 2,503톤 대비 약 4%가 증가하였고,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1,030,189톤으로 이 중 필리핀에서 수입된 물량은 2,620톤으로 전체 수입물량의 0.3%를 차지하였다. 필리핀에서 가장 많이 수입되는 주요 어종은 냉동문.. 2020. 1. 31.
2019년,중국 수산물 부적합 총 21건 2019년 12월까지 중국 수산물의 부적합 21건 발생하였고, 부적합 물량은 약 428톤, 금액은 USD 1,654,970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부적합 35건 발생 대비 40%가 감소한 수치이다. 부적합 어종으로는 냉동오징어 5건, 냉동낙지4건, 냉동게(꽃게)1건, 냉동복어(민밀복,금밀복) 1건, 냉동.. 2020. 1. 30.
일본, 2019년도 수산물 수입량 0.8%증가 지난 2019년 일본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2,080,965톤으로 2018년의 2,064,832톤과 비교하여 0.8%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아시아국가가 주요 수산물 공급처로 전체물량의 50.5%인 1,051,907톤을 수출하였으며 이중 중국에서 408,315톤으로 19.6%를 차지하였으며 한국은 3.09%를 점유하였다. 미국으로.. 2020. 1. 29.
2019년 국가별 수산물 수입동향 지난 2019년에 수입된 수산물은 총 1,030,200톤으로 2018년의 1,103,600톤에 비하여 6.7%가 줄어들었으며 수입 금액는 USD 45억 1,299만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47억 901만달러와 비교하면 약 4.2%가 감소하였다. 주요 수출국가는 중국, 러시아, 베트남, 노르웨이, 페루, 미국 순이며 전체물량의 약 25.3%를 .. 2020. 1. 8.
기니,영상가이석태/긴가이석태/서대순... 2019년 11월까지 기니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9,346톤으로 전년 동기 9,389톤 대비 약 0.5% 감소하였으며,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908,852톤으로 이 중 기니에서 수입된 물량은 9,346톤으로 전체 수입 물량의 약 1%를 차지하였다....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 2020. 1. 8.
중국 수산물 부적합 발생 총 18건 2019년 11월 말까지 중국 수산물 부적합이 18건 발생하였고, 부적합 물량은 약 364톤, 금액은 USD 1,544,930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부적합 34건 발생 대비 47%가 감소한 수치이다....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2019.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