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 수산물 한국 수입, 2022년 동기비교 3% 증가
일본, 오염수방류 게획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수입량은 늘어… 2023년 5월말까지 일본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10,635톤으로 2022년 동기의 10,367톤 대비 3%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수입금액은 USD 7,076만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6,257만달러 비교 13%가 증가하였다. 수입량이 많은 순서로 동향을 보면 활 가리비는 4,202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4,363톤 대비 4% 감소, 활 방어는 647톤이 수입, 전년동기 999톤 대비 35% 감소, 냉장 홍어는 490톤이 수입, 전년동기 281톤 대비 74% 증가하였다. 평균 수입단가는 활 가리비가 USD 4.48/키로로 2022년의 USD 4.05/키로 대비, 활 참돔(USD 8), 활 방어(USD 12.1), 냉장 홍어(USD 5.66)..
2023. 6. 20.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 5월기준으로 2022년 대비 5% 늘어나…
지난 5월말까지 중국에서 수입된 수산물은 95,385톤으로 2022년 동기의 91,208톤 대비 5%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아귀, 냉동 오징어, 활 바지락, 냉동 낙지와 냉동 백합 순이었으며 냉동 아귀, 냉동 오징어, 냉동 낙지와 냉동 백합의 수입량은 늘어났지만 활 바지락은 줄어들었다. 2023년 5월까지의 중국산 수산물의 수입금액은 USD 3억 5,444만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3억 3,278만달러 비교 7%가 상승하였으며 평균 수입단가는 USD 3.73/키로로 2022년의 USD 3.65/키로 대비 2%가 높아졌다. 주요 어종별 평균 수입단가는 냉동 아귀 USD 1.68/키로(2022년의 USD 1.38/키로 대비 상승), 냉동 오징어 USD 2.86/키로, 활 바지락 ..
2023. 6. 19.
마다가스카르산 냉동 갈치 제품 안내
마다가스카르에서 수입되어 국내에 보관중인 냉동 갈치의 검품사진입니다. 형태 : 라운드와 드레스 라운드 사이즈 : 200/300g, 300/500g, 500/700g, 700/900g, 900/1200g, 1200/1500g, 1500/1800g 포장중량 : 8키로 박스 수산물에 대한 설명과 유통/무역, 수출입업체, 수산물 동향, 수산물 통계등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싶으세요? 2000년, 부산에 설립된 수산전문사이트인 forsea의 관리업체인 "유니언포씨"에서 상담하세요. 체인점이나 거래처에 동일한 품질과 저렴한 가격으로 지속적으로 공급을 하시길 원하시나요? 그럼 수산전문사이트 포씨의 관리업체인 "유니언포씨"에 수산물 수입에 대하여 상의하세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으로 빠르고 정확한 오퍼를 제공합니다.
2023. 6. 15.
2023년 6월 2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소식
생연어동향, 노르웨이가격 상승/칠레 하락/스코클랜드 보합세페루, 2023 멸치 조업할당량 60% 줄어든109만톤으로 설정ICES, 북해 청어 조업량 2023년보다 28% 증가권고러시아, 대서양 수산물의 아시아행 수출 늘어…기나산 한국행 수산물 수입량, 5월까지 전년대비 20% 감소 FDA, 태국/인도/인도네시아/스리랑카 새우에서 금지된 항생제 검출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새우가격 하락6월 7일부터 9일까지, 제1회 일덱스 필리핀 마닐에서 개최세네갈산 한국행 냉동 갈치 수입량, 전년대비 523% 늘고, 단가는 하락 아르헨티나, 5월까지한국행 수산물 수출량 26% 감소태국행 가다랑어 가격 톤당 2,00달러 넘어, 최근5년중 ..
2023. 6. 10.
2023년 5월까지 수산물 수입동향
지난 5월말 기준으로 한국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456,195톤으로 2022년 동기의 538,491톤 대비 15%가 줄었으며 총 수입금액은 USD 21억 7,753만달러의 전년동기의 USD 20억 9,411만달러 대비 4%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s://www.forsea.co.kr )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고등어, 냉동 청어, 냉동 아귀순이며 냉동 아귀를 포함한 오징어 동체, 오징어, 오징어 지느러미, 자숙 오징어 동체, 정어리, 낙지등 7개 어종은 전년 대비 올해 수입량이 증가하였고 냉동 명태, 고등어, 청어 등 3개 품목은 수입량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출처 : (주)유니언포씨) 수입량이 가장많은 냉동 명태는 전체수입량의 16.4%인 74,8..
2023.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