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조류 종류별 특징
▷해조류(seaweed)란? 바다에 사는 조류를 통틀어 일컫는 말, 또한 연안의 해저에서 태양광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는 식물을 일컫는 말로서, 몸에 지닌 색소와 생식 방법 등에 따라 녹조류, 황갈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으로 구분된다. ▷해조류의 이용 한국, 중국, 일본은 식용으로 사용하며, 가축의 사료나 각종 해조산업의 원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해조류 식품은 단백질, 지방 함량이 낮고 탄수화물은 소화율이 낮아서 영양가는 적지만, 칼륨·요오드·칼슘 등 각종 무기염류와 비타민A, C 등의 함량이 높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혈압강하·동맥경화 예방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건강식품으로 사용된다.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
2022. 8. 16.
저렴한 오징어, 캐나다산의 수입량 늘어.......
캐나다산 오징어의 수입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 되었다. 지난 2022년 7월말 기준으로 3,170톤의 캐나다산 수산물이 수입 되었는데 이중 냉동 오징어의 수입량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2021년 7월까지 수입되 캐나다산 냉동 오징어는 23톤에 불과하였는데, 올해에는 624톤이 들어와 2,613%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활 바다가재 다음으로 수입량이 많은 것으로 전체 캐나다산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크게 늘어났다. 2021년의 경우, 캐나다산 냉동 오징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0.96%로 미미한 상태 이었으며 2022년의 캐나다산 냉동 오징어의 수입단가는 키로당 USD 1.96에 형성되었다. 냉동 오징어는 중국, 아르헨티나, 러시아, 스페인, 캐나다, 바누아투와 미국 순으로 많은 물량이 들어오..
2022. 8. 14.
7월 냉동 낙지 평균 수입단가 42% 상승
7월중 냉동 낙지 수입량은 1,570톤으로 전년 2,022톤 대비 22% 감소하였으며 누적 수입량은 12,581톤이며 전년 13,140톤 대비 4%의 하락세를 보였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7월 평균 수입량은 2,097톤이며 최근 6년 중 누적 냉동 낙지 수입량은 2017년에 22,435톤으로 가장 많이 수입되었으며 2022년(12,581톤)에 가장 적은 수입량은 보이고 있다. 낙지 주요 수입국가는 중국,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 총 9개국으로, 중국에서 전체의 62%인 7,794톤이, 베트남에서 25.5%인 3,206톤, 태국 693톤, 인도네시아 495톤 순으로 수입되었다. 수입단가는 태국이 USD 7.92/Kg로 가장 높게, 중국 USD 6.76/Kg, 마다가스카르 USD 5.35/Kg..
2022. 8. 7.
러시아산 냉동 명태 수입량, 148% 늘어나..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러시아에서 수입한 수산물이 2021년의 동기간 대비 86%가 늘어난 346,295톤이 되었다. 그리고 러시아산 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총 수입물량인 724,699톤의 48%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수입량을 많은 순으로 보면, 냉동 명태가 218,429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88,227톤 대비 148%가 늘어났으며 평균수입단가는 USD 1.10/키로에 형성되어 2021년의 USD 1.06/키로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2번째 수입량이 많은 냉동 청어는 22,724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9,961톤 대비 128%가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냉동 대구가 18,174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17,892톤 대비 2%가 늘어났다. 4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곱사연어는 16,..
2022. 8. 5.
냉동 명태/청어/곱사연어 수입량 늘어...
2022년 7월까지724,699톤이 국내로 수입되었으며, 2021년 7월까지의 수입량인 583,312톤 대비 24%가 늘어났으며 수입금액은 USD 28억 9,739만 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23억 4,793만 달러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까지 수입량이 많은 10개 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고등어, 냉동 청어, 냉동 오징어, 냉동 대구, 냉동 곱사연어, 냉동 아귀, 냉동 주꾸미, 냉장 연어, 냉동 오징어동체 순으로 집계되었으며 수입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어종은 냉동 곱사연어이며 2021년 대비 1,766%가 늘어났으며 반대로 가장 많이 감소한 어종은 냉동 아귀로26%가 줄어들었다. 냉동 명태를 포함한 청어, 대구, 곱사연어, 오징어동체의 전년 대비 올해 수입량이 늘었으며 냉동 고등어, ..
2022.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