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중 냉동 갑오징어 수입통계
2022년 6월말 기준으로 냉동 갑오징어는 2,410톤이 들어와 2021년 동기 대비 14%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국산의 수입단가가 가장 높게 형성이 되었다. 총 8개국가에서 냉동 갑오징어가 수입되고 있는데, 국가별 수입단가는 태국 USD 8.50/Kg로 가장 높은 단가에, 베트남 USD 5.00/Kg, 인도네시아 USD 6.44/Kg, 소말리아 USD 3.52/Kg, 모리타니 USD 1.26/kg 가장 낮은 단가에 수입되었다. 물량면에서는 베트남에서 63.5%(1,532톤)이 수입되었고, 인도네시아 9.9%(239톤), 소말리아 9.4%(227톤), 태국 183톤 등의 순으로 수입되었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6월 평균 수입량은 364톤이며 최근 6년 중 6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2022..
2022. 7. 6.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물량 늘어나...
러시아산 수산물의 한국 수입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22년 6월 기준으로 러시아에서 수입된 수산물은 298,210여톤으로 2021년 동기간 수입량인 152,233톤과 비교하면 96%가 늘어난 물량이다. 수입금액은 USD 7억 5,880만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4억 4,270만달러 대비 71%가 증가하였다. 가장 수입물량이 많은 냉동 명태는 189,626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70,645톤 대비 168%가 늘어났으며 전체수입량의 66%를 차지하였고 2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청어는 20,051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6,619톤 대비 203%가 늘어났으며 수입량의 7%를 차지하고 있다. 3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곱사연어는 15,604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889톤과 비교하여 1,655%..
2022. 7. 3.
모로코산 냉동 갈치가 가장 많이 수입되....(2022년 5월 기준)
냉동 갈치의 경우, 모로코산의 수입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지난 2022년 1월부터 5월누적으로 4,361톤의 갈치가 수입되었는데, 이중 모로코산이 34.5%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에콰도르(15.1%)와 오만(13.4%)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 5월까지 수입된 냉동 갈치는 4,361톤으로 2021년 동기간의 물량인 3,798톤과 비교하면 15%가 늘어난 수치이며 지난 5월중에는 1,265톤이 들어왔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5월 평균 냉동 갈치 수입량은 1,341톤이며 최근 6년 중 2017년(8,499톤)에 가장 많이, 2021년(3,798톤)에 가장 적게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 갈치 수입국가는 모로코에서 1,506톤, 에콰도르 657톤, 오만 586..
2022. 7. 2.
명태/고등어/청어 순으로 수입량 많아..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수산물 626,267톤이 국내로 수입 되었으며, 2021년 동기의 수입량인 500,364톤 대비 25.2%가 늘어났으며 수입금액은 USD 25억 5만 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20억 315만 달러 대비 2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량이 많은 10개 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고등어, 냉동 청어, 냉동 오징어, 냉동 대구, 냉동 곱사연어, 냉동 아귀, 냉장 연어, 냉동 주꾸미, 냉동 오징어동체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어종은 냉동 곱사연어이며 2021년 대비 1,656%가 늘어났으며 반대로 가장 많이 감소한 어종은 냉동 오징어로20%가 줄어들었다. 냉동 명태를 포함한 청어, 대구 등은 전년 대비 올해 수입량이 증가하였고 냉동 고등어, 아귀 등을 포함한 5..
2022. 7. 1.
2022년 5월까지 냉동 오징어동체 수입 10% 늘어....
5월중 냉동 오징어 동체 수입, 30% 증가 2022년 5월 중 냉동 오징어동체 수입량은 2,766톤으로 전년 2,133톤 대비 30% 증가세를 보였으며 5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8,475톤으로 전년 7,706톤 대비 10% 상승하였다. 냉동 오징어 동체 주요 수입국가는 중국, 페루, 칠레, 아르헨티나 등을 포함한 7개국이며, 중국에서 전체의 73%(6,225톤)이 수입되었고, 페루에서 17%(1,482톤), 칠레에서 8%(683톤) 등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평균 수입단가는 필리핀 USD 12.00/kg로 가장 높은 가격에, 중국 USD 1.51/kg, 페루 USD 1.85/kg, 칠레 USD 1.81/kg 에 수입되었다. 냉동 오징어 동체 수입금액은 USD 451만 달러로 전년 USD 325만 달러 대비..
2022. 6. 26.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 5% 늘어나...
2022년 5월까지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수입된 수산물은 21,339톤으로 2021년 동기의 20,255톤과 비교하면 5%가 늘어난 수치이며 러시아, 중국, 노르웨이에 이어 4번째로 많은 물량을 베트남에서 구매하고 있다. 베트남산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주꾸미, 염장 젓새우, 냉동 낙지와 냉동 갑오징어 순이다. 냉동 주꾸미의 경우, 7,970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8,755톤 대비 9%가 줄어들었으며 염장 젓새우는 3,371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의 2,569톤 대비 31%가 늘어났다. 냉동 낙지는 2,489톤이 들어와 17% 증가, 냉동 갑오징어는 1,163톤을로 11% 증가하였으며 냉동 흰다리새우살은 838톤이 수입되어 전년대비 6%가 줄어들었다. 6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마른 밴댕이는 703톤이 수입되..
2022. 6. 25.
베트남, 수산물 수출 42.4% 증가
베트남 수산물 생산/수출업협회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5월까지 누계 수산물 수출금액이 USD 46억 5,888만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21년 동기에 비하여 42.4%가 늘어난 금액이라고 한다. 주요 수출어종은 새우류, 팡가시우스, 참치, 기타어류, 두졸규, 연체류순이며 이중 새우가 전체의 38%이상을 차지하였으며, 팡가시우스 약 26%, 참치 9.9%, 기타어류 16.3%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5월까지 어종별 증가율을 보면 팡가시우스가 89.4%의 수출 금액이 증가하였으며 참치의 수출도 58%가 늘어났고, 게/갑각류도 46%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베트남의 수출금액 증가는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구매 수요의 증가와 수산물의 글로벌 인플레이션등의 원인으로 수출 수산물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
2022.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