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8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수산물의 주요 원산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베트남 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기간 동안 전체 수입검사 실적은 총 643,471톤에 달하여 전년동기 실적인 608,433톤 대비 약 5.7%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2011년 8월 말까지 총 768개의 품종의 수산물이 수입되었으며, 가장 높은 검사량을 기록한 주요 품종은 냉동명태, 냉동고등어, 냉동조기(참조기), 활바지락, 냉동아귀, 냉동주꾸미, 냉동갈치 등이 있다.
위와 같은 검사실적 상위 10개 품종의 물량만 298,035톤에 달하며, 전체 수입검사량(643,471톤) 중 약 46.3%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통계되었다.
전년대비 수입물량이 증가한 주요 어종은 냉동고등어, 냉장주꾸미, 마른명태, 염장새우(젓새우), 활미꾸라지 등이며 품목별 동향은 아래와 같다.
냉동고등어는 총 34,814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에 비해 약 86% 증가, 냉장주꾸미는 총 1,884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와 비교하여 약 132% 증가, 마른명태의 수입량은 1,279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약 54% 증가, 염장새우(젓새우)는 11,112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대비 약 91% 증가, 활미꾸라지는 5,268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에 비해 약 10% 증가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반면 수입물량이 감소한 주요 어종은 냉동명태, 냉장명태, 마른새우, 염장해파리, 활바지락 등이 있으며 품목별 동향은 아래와 같다.
냉동명태는 총 116,383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에 비해 약 9% 감소, 냉장명태는 총 6,395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와 비교하여 약 29% 감소, 마른새우의 수입량은 1,765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약 5% 감소, 염장해파리는 2,870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대비 약 16% 감소, 활바지락은 21,245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대비 약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보다 많은 자료는 http://www.forsea.co.kr
** 비공개로 설정된 블로그나 카페는 스크랩하지 마세요.
단, 공개된 블로그나 카페는 출처 기재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수입검사 관련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0) | 2011.10.31 |
---|---|
8월, 어종별 월간 수산물 부적합 현황 (0) | 2011.09.30 |
국가별 수산물 월간 수입검사 동향 (0) | 2011.09.28 |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개정 (0) | 2011.09.15 |
7월, 국가별 수산물 부적합 현황 (0) | 2011.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