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별 수산기사1184

중국, 인도네시아/브라질 수산물에서 코로나 검출... 수산물 포장지와 수산물 샘플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검출 된 러시아국적의 2개선박에서 조업된 수산물의 수입이 4주간 중단된다고 중국의 관련부서는 발표하였다. 지난 토요일, 산동성 소재 관련부서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수입이 중단 된 것이다. 최근, 브라질에서 수입한 수산물포장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검사에서 양성이 나와 1주일간의 수입이 중단된 바 있으며 인도네시아산 냉동 갈치 검사에서도 코로나바이러스가 검출되어 수산업체가 1주일간의 수입이 중단 되었다. 중국은 코로나바이러스가 검출되는 모든 수산물의 공급업체는 1주에서 4주까지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첨부 된 사진은 참조용으로 기사내용은 상관이 없음 문서번호 : union-2020-0928-1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 2020. 9. 27.
필리핀산 수산물 수입량 24% 감소 필리핀에서 한국으로 수입된 수산물이 24%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지난 8월 기준으로 1,617톤이 수입되어 2019년의 1,234톤과 비교 24%가 줄어들었으며 수입금액도 USD 1,629만달러로 15%가 감소하였으며 필리핀산 수산물이 한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2%로 집계되었다. 필리핀에서 수입되는 주요 수산물 자숙냉동 전복살, 자숙냉동 문어, 냉동 문어, 냉동 홍다리얼룩새우 순이며 전복살/문어슬라이스/오징어동체의 수입량은 증가하였지만 문어/홍다리얼룩새우/가다랑어등의 수입량은 감소하였다. 문서번호 : union-2020-0927-2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 2020. 9. 27.
중국, 냉동 적어 포장에서도 코로나 양성반응 보여… 중국, 냉동 적어 포장에서도 코로나 양성반응 보여… 중국은 수입된 냉동 대서양 큰붉은볼락의 포장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됨에 따라 해당체의 수입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중국의 관련부서에 따르면 노르웨이에서 수입된 대서양 큰붉은볼락(적어/sebasters mentella) 외부 포장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이 반응이 나왔으며 해당업체인 HAVFISK’S GADUS NJORD에서 조업/가공된 모든 수산물의 수입은 일주일간 중단된다고 발표하였다. 해당업체에 따르면 이번에 검출된 대서양 큰붉은볼락은 지난 6월 9일 조업되어 선동/포장된 것으로 선박자체의 감염보다는 작업 후 운송 및 보관 과정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문서번호 : union-2020-0924-5 *** 상기 기재된 내용은 .. 2020. 9. 25.
중국, 러시아산 수입오징어 포장에서 코로나 검출 중국 지린성 창춘시의 관련부서에 따르면 지난 8월에 수입된 러시아산 오징어 포장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이 오징어를 구매한 사람들은 긴급 검사를 받을 것을 촉구하였다. 수입된 오징어중 일부가 창춘시를 거쳐 푸유시에 도착하였는데, 푸유시 보건당국에 의해서 오징어 포장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으로 공식 발표 되었다. 이번에 검출된 오징어는 훈춘시 소재 무역회사에 의해서 수입되어 지린성으로 유통된 제품으로 밝혀졌으며 중국 세관에 따르면 냉동 식품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반응이 나오면 1주일간, 3번이상 검출 되면 1개월간 공급업체의 수입이 중단 되는 조치를 취한다. |*첨부된 사진은 참조용으로 기사 내용과는 상관이 없음. 문서번호 : union-2020-0921-1 *** 상기 기재된 내용은.. 2020. 9. 21.
미국, 임연수어 수출량 전년도와 큰 차이 없어……… 2020년 7월까지 미국에서 한국/중국/일본으로 수출한 냉동 임연수어는 15,763톤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219년 동기의 15,731톤과 비슷한 수준이며 2018년의 20,743톤 대비 물량이 24% 줄어든 수치이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가장 많은 9,319톤, 중국이 5,062톤, 한국이 1,382톤을 수입하였으며 수출가격은 일본/중국이 USD 2.78/키로에 수출하였으며 한국으로 USD 2.29/키로에 수출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평균 수출단가는 USD 2.74/키로에 형성되어 2019년의 USD 2.75/키로, 2018년의 2.74/키로 대비 큰 변동은 없었다. 문서번호 : union-2020-0915-3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 2020. 9. 15.
러시아산, 명태/명란/대구/각시가자미가 순으로 수입 러시아, 명태/명란/대구/각시가자미가 순으로 수입 2020년 8월까지 한국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607,747톤이며 이중 러시아에서 167,357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27%를 차지하였으며 2019년 동기의 156,081톤 대비 7%가 늘어난 수치이다.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명란, 냉동 대구, 냉동 각시가자미와 냉동 임연수어 순이며 올해 수입량이 증가한 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명란, 냉동 대구, 냉동 임연수어이며 반대로 냉동 대구, 냉동 청어는 수입량이 감소하였다.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수입되는 냉동 명태는 올해 84,939톤일 수입되어 전년의 73,821톤대비 15%가 증가하였으며 국내에서 유통되는 시세는 7통 36,000원, 8통 31,000원, 9통 44,000원선에 형성되고 있다. *보.. 2020. 9. 11.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 8월까지 5% 감소 2020년 8월까지 한국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607,747톤이며 이중 태국에서 수입한 물량은 9,116톤으로 전체수입량의 1.5%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주꾸미, 염장 해파리, 냉동 흰다리새우살, 냉동 낙지등이 있으며 수입량이 증가한 어종은 냉동 주꾸미, 냉동 흰다리새우살, 냉동 낙지, 냉동 자숙흰다리새우살등이 있으며 감소한 어종은 염장 해파리, 냉장 주꾸미, 냉동 갑오징어이었다. 태국산 주요 어종별 국내 유통시세는 냉동 절단낙지 29,000원(3키로/포장), 냉동 절단주꾸미 52,000원(5.4키로/포장) 등에 형성되고 있다. 문서번호 : union-2020-0910-2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2020. 9. 10.
러시아/미국/칠레로부터 수산물 수입량 증가 2020년 8월까지 604,740여톤의 수산물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19년의 659,150여톤과 비교하면 8%가 감소한 수치이다. 수입금액은 USD 28억 3,990만달러로 2019년의 USD 29억 641만달러 대비 2%가 하락하였다. 주요 수입국가는 러시아, 중국, 노르웨이, 베트남, 미국과 칠레등이 있으며 러시아에서 전체물량의 27% 이상을 수입하고 있으며 중국 24.3%, 노르웨이 7.4%, 베트남 6.3%, 미국 5.1%와 칠레 3.5%순이다. 2019년 대비 수입량이 증가한 국가는 러시아, 미국, 칠레, 아르헨티나가 있으며 중국, 노르웨이, 베트남, 페루, 일본 등에서의 수입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러시아산 주요 수입수산물은 명태, 명태알, 대구, 각시가자미 순이며 중국에서는 아귀, 바.. 2020. 9. 3.
아르헨티나, 일렉스 오징어 수출동향 일렉스오징어는 올해 최고의 조업량을 달성하였으며 수출량도 급증하여 현지 오징어업계에 큰 도움을 주었다. 생산량의 경우, 2019년 대비 66.5%가 늘었으며 수출금액도 53.6%가 증가하였는데, 물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단가는 8.4%가 상승하는 효과도 있었다. 지난 7월 31일까지 총 125,000톤이 수출되어 금액은 USD 3억 3,550만달러로 집계되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이 최대 수출국으로 65,000톤이 수출되어 전년대비 32.5%가 늘어났으며 수출단가는 10% 높게 형성되었고 최저 수출단가는 USD 2.50/키로에 형성되었다. 한국도 주요 수출국가로 부상하고 있으며 올해는......... 문서번호 : union-2020-0901-1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2020. 9. 1.
일본, 남획 방지와 자원보호 차원의 수산법 개정 예정 일본은 자원 감소와 남획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수산법을 개정한다고 발표하였다. 자원고갈 차원에서 방어와 붉은 돔이 추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규제대상 품목 확대로 어민들의 단기적 수입감소도 점쳐지고 있다. 수산자원 관리 강화를 골자로 한 개정 수산법은 2020년 12월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방어, 붉은돔, 멸치, 가자미, 복어등 총 15개 어종이 규제 대상 어종으로 점쳐지고 있다. 현재, 8개 어종인 고등어(3종류)/정어리/꽁치/참다랑어/오징어와 대게가 조업 규제 대상어종에 포함되어 있다. 일본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984년 1,281만톤을 정점으로 계속 생산량이 감소하여 2019년엔 416만톤에 그쳤다. 이번 수산법 개정으로 매년 약 440만톤이 생산되길 희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 2020. 9. 1.
아이슬란드, 청어/고등어 생산량 늘어…. 2020년 7월까지 아이슬란드의 주요 수산물 생산량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어종인 할리벗의 경우 8,559톤이 조업되어 전년의 8,207톤 대비 4.2%가 늘어났으며 대구는 170,363톤이 잡혀 2018년, 2019년에 이후 지속적으로 생산량이 늘고 있다. 청어의 경우도 물량은 크게 늘어 14,800톤이 생산되었는데 이는 2019년의 9,078톤 대비 60% 이상 증가한 수치이며 2018년의 4,445톤과 비교하면 232%가 늘어난 수치이다. 고등어의 경우 48,717톤이 잡혀 2019년의 43,341톤대비 12%가 늘어났다. 반대로 장문볼락의 경우 29,373톤이 생산되어 2019년의 31,856톤 대비 7.7%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 되었다. 문서번호: union-2020-0831-1 **.. 2020. 8. 31.
러시아, 극동해역(아시아해역) 8월기준 생산량 2019년 대비 0.1% 감소 러시아의 수산물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4째주 기준으로 생산된 수산물은 3,424,520여톤으로 2019년 대비 4,770톤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되었다. 극동(아시아)해역의 총 생산량은 2,472,470여톤으로 전년대비 6,820여톤이 늘어 0.28%가 증가하였으며 명태의 경우, 1,480,420여톤으로 74,010여톤이 늘어났으며 대구는 128,760여톤으로 13,390여톤이 증가, 청어는 154,410여톤이 조업되어 2019년4,970여톤이 늘어났다. 문서번호 : union-2020-0827-1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 2020. 8. 27.
중국 해산/수산물 박람회 2020 개최 연기 세계 최대 수산물 무역 박람회인 중국 해산/수산물박람회(CFSE) 주최측은 사상 유례없는 코비드-19의 대유행으로 올해 25번째인 2020 CFSE(China Fisheries & Seafood Expo)의 일정이 조정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당초 오는 10월 28~30일 청도소재 Hongdao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25주년 CFSE는 1년후인 2021년 10월 27~29일 같은 장소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참조로 2020년 기준으로 세계 3대 수산 전시회는 미국의 보스턴 씨푸드쇼, 벨기에 브뤼셀의 수산박람회와 중국 해산/수산물 박람회가 있는데, 벨기에 브뤼셀 수산박람회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인해 올해 취소가 되었으며 2021년부터는 장소를 스페인의 바로셀로나로 옮겨 개최 할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 2020. 8. 22.
대만산 수산물 화상 구매 상담회 개최 대만 대외무역발전협회는 2020년 9월 22일 대만산 수산물/냉동 식품에 관심이 있는 한국업체를 위한 화상 구매 상담회를 온라인으로 진행 할 예정이다. 신청기한은 2020년 8월 20일까지이며 2020년 9월 22일 오전에 개최가 될 계획으로 신청서 접수/ 상담업체 선별/ 일정 조율 후 SKYPE로 미팅이 이루어진다. 관련문의 상담 : 02-3789-8830 (lianju@taitra.org.tw) 참조로 한국에서 수입하는 대만산 주요 수산물은 냉동 꽁치, 냉동 다랑어류와 냉동 오징어등이 있다. 문서번호 : union-2020-0819-6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2020. 8. 19.
씨푸드엑스포 아시아, 2020년 전시회 취소 2020년 11월 18일부터 3일간 싱가포르에서 개최 예정이던 씨푸드엑스포 아시아(SEAFOOD EXPO ASIA) 2020년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유행으로 인한 건강과 안전문제로 취소 되었다. 미래를 예측하고 수산업체에 안전한 비즈니스 플랫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예정되었던 전시회이지만 계속되는 감염자 발생과 안전문제로 결국 올해는 개최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씨푸드엑스포 아시아는 2018년까지 홍콩에서 개최 되었으며 2019년에는 홍콩의 소요사태로 취소 되었고 올해에는 장소를 싱가포르로 옮겨 개최 할 예정이었다. 참조로 씨푸드엑스포는 북아메리카(NORTH AMERICA), 글로벌(GLBOAL) AND 아시아(AISA)로 나누어 매년 3회 개최되는 최대의 수산전시회를 개최하는 회사이다. 문서번호 : unio.. 2020. 8. 13.
러시아, 극동해역 꽁치 13톤 잡혀.... 러시아의 관련부서에 따르면 지난 8월 9일 기준 러시아선박에 의한 극동해역(FAR EAST)에서의 꽁치, 정어리와 고등어 어획량은 79,500톤으로 2019년보다 47,410톤이 늘어 168.8%의 증가하였다고 한다. 러시아 EEZ에서의 어획량은 64,500톤으로 2019년보다 34,000톤이 늘었으며 공해상에서는 2,670톤, 일본 EEZ에서는 12,400톤이 조업되었다. 어종별로 보면 정어리는 65,500톤이 조업되어 2019년보다 35,600톤이 더 잡혔으며 고등어는 14,030톤이 조업되어 2019년의 12,960톤 대비 소폭 증가하였고 꽁치는 겨우 13톤이 어획되었다. 문서번호 : union-2020-0813-1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 2020. 8. 13.
중국, 오징어 조업 3개월간 일시 중단 예정 중국 정부는 갈라파고스와 아르헨티나해역에서의 대왕오징어 조업을 3개월간 중단한다고 발표하였다. 오는 9월 1일부터 갈라파고스섬 공해상에서 3개월간 조업이 일시 중단될 것으로 이 해역에서의 대왕오징어의 자원보호를 위한 것으로 덧붙였다. 중국 오징어선단은 전 세계 대왕오징어 조업량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통계에 의하면 약 600여척 이상의 선박이 오징어 조업이 가능하며 2018년에는 520,000톤이상의 오징어를 조업한 바 있다. 참조로 2020년 일렉스 오징어 조업는 최근 20년간 가장 많은 물량의 오징어가 조업되어 가격이 하락되기도 하였으며 현재 많은 물량이 아르헨티나 주요항구와 중국의 창고로 옮겨져 보관 되어 있다. 이러한 중국의 조업 일시중단은 오징어 자원보호라는 명목하에 보유한 재고물량의 급.. 2020. 8. 8.
2020년 7월 누적 국가별 수입량 순위. 2020년 7월까지 수산물 533,035 톤이 수입 되었으며 2019년 동기 578,199 톤 대비 약 8% 감소 하였다. 7월말 누적 수입상위 10개국은 러시아, 중국, 노르웨이, 베트남, 미국, 칠레, 페루,아르헨티나,일본, 대만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7월 누적 전체 수입물량의 약 28% 를 러시아 에서, 약 25% 를 중국 에서 수입, 상기 2개국가에서, 전체 수입물량의 약 53% 를 차지하고 있다.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 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할 경우 반드시 “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웹사이트 http://www.. 2020.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