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임연수어 수출량 전년도와 큰 차이 없어………
2020년 7월까지 미국에서 한국/중국/일본으로 수출한 냉동 임연수어는 15,763톤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219년 동기의 15,731톤과 비슷한 수준이며 2018년의 20,743톤 대비 물량이 24% 줄어든 수치이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가장 많은 9,319톤, 중국이 5,062톤, 한국이 1,382톤을 수입하였으며 수출가격은 일본/중국이 USD 2.78/키로에 수출하였으며 한국으로 USD 2.29/키로에 수출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평균 수출단가는 USD 2.74/키로에 형성되어 2019년의 USD 2.75/키로, 2018년의 2.74/키로 대비 큰 변동은 없었다. 문서번호 : union-2020-0915-3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
2020. 9. 15.
러시아산, 명태/명란/대구/각시가자미가 순으로 수입
러시아, 명태/명란/대구/각시가자미가 순으로 수입 2020년 8월까지 한국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607,747톤이며 이중 러시아에서 167,357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27%를 차지하였으며 2019년 동기의 156,081톤 대비 7%가 늘어난 수치이다.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명란, 냉동 대구, 냉동 각시가자미와 냉동 임연수어 순이며 올해 수입량이 증가한 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명란, 냉동 대구, 냉동 임연수어이며 반대로 냉동 대구, 냉동 청어는 수입량이 감소하였다.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수입되는 냉동 명태는 올해 84,939톤일 수입되어 전년의 73,821톤대비 15%가 증가하였으며 국내에서 유통되는 시세는 7통 36,000원, 8통 31,000원, 9통 44,000원선에 형성되고 있다. *보..
2020. 9. 11.
태국산 수산물 수입량, 8월까지 5% 감소
2020년 8월까지 한국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607,747톤이며 이중 태국에서 수입한 물량은 9,116톤으로 전체수입량의 1.5%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주꾸미, 염장 해파리, 냉동 흰다리새우살, 냉동 낙지등이 있으며 수입량이 증가한 어종은 냉동 주꾸미, 냉동 흰다리새우살, 냉동 낙지, 냉동 자숙흰다리새우살등이 있으며 감소한 어종은 염장 해파리, 냉장 주꾸미, 냉동 갑오징어이었다. 태국산 주요 어종별 국내 유통시세는 냉동 절단낙지 29,000원(3키로/포장), 냉동 절단주꾸미 52,000원(5.4키로/포장) 등에 형성되고 있다. 문서번호 : union-2020-0910-2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2020. 9. 10.
러시아/미국/칠레로부터 수산물 수입량 증가
2020년 8월까지 604,740여톤의 수산물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19년의 659,150여톤과 비교하면 8%가 감소한 수치이다. 수입금액은 USD 28억 3,990만달러로 2019년의 USD 29억 641만달러 대비 2%가 하락하였다. 주요 수입국가는 러시아, 중국, 노르웨이, 베트남, 미국과 칠레등이 있으며 러시아에서 전체물량의 27% 이상을 수입하고 있으며 중국 24.3%, 노르웨이 7.4%, 베트남 6.3%, 미국 5.1%와 칠레 3.5%순이다. 2019년 대비 수입량이 증가한 국가는 러시아, 미국, 칠레, 아르헨티나가 있으며 중국, 노르웨이, 베트남, 페루, 일본 등에서의 수입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러시아산 주요 수입수산물은 명태, 명태알, 대구, 각시가자미 순이며 중국에서는 아귀, 바..
2020. 9. 3.
아이슬란드, 청어/고등어 생산량 늘어….
2020년 7월까지 아이슬란드의 주요 수산물 생산량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어종인 할리벗의 경우 8,559톤이 조업되어 전년의 8,207톤 대비 4.2%가 늘어났으며 대구는 170,363톤이 잡혀 2018년, 2019년에 이후 지속적으로 생산량이 늘고 있다. 청어의 경우도 물량은 크게 늘어 14,800톤이 생산되었는데 이는 2019년의 9,078톤 대비 60% 이상 증가한 수치이며 2018년의 4,445톤과 비교하면 232%가 늘어난 수치이다. 고등어의 경우 48,717톤이 잡혀 2019년의 43,341톤대비 12%가 늘어났다. 반대로 장문볼락의 경우 29,373톤이 생산되어 2019년의 31,856톤 대비 7.7%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 되었다. 문서번호: union-2020-0831-1 **..
2020. 8. 31.
러시아, 극동해역(아시아해역) 8월기준 생산량 2019년 대비 0.1% 감소
러시아의 수산물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4째주 기준으로 생산된 수산물은 3,424,520여톤으로 2019년 대비 4,770톤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되었다. 극동(아시아)해역의 총 생산량은 2,472,470여톤으로 전년대비 6,820여톤이 늘어 0.28%가 증가하였으며 명태의 경우, 1,480,420여톤으로 74,010여톤이 늘어났으며 대구는 128,760여톤으로 13,390여톤이 증가, 청어는 154,410여톤이 조업되어 2019년4,970여톤이 늘어났다. 문서번호 : union-2020-0827-1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
2020. 8. 27.
러시아, 극동해역 꽁치 13톤 잡혀....
러시아의 관련부서에 따르면 지난 8월 9일 기준 러시아선박에 의한 극동해역(FAR EAST)에서의 꽁치, 정어리와 고등어 어획량은 79,500톤으로 2019년보다 47,410톤이 늘어 168.8%의 증가하였다고 한다. 러시아 EEZ에서의 어획량은 64,500톤으로 2019년보다 34,000톤이 늘었으며 공해상에서는 2,670톤, 일본 EEZ에서는 12,400톤이 조업되었다. 어종별로 보면 정어리는 65,500톤이 조업되어 2019년보다 35,600톤이 더 잡혔으며 고등어는 14,030톤이 조업되어 2019년의 12,960톤 대비 소폭 증가하였고 꽁치는 겨우 13톤이 어획되었다. 문서번호 : union-2020-0813-1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
2020. 8. 13.
2020년 7월 누적 국가별 수입량 순위.
2020년 7월까지 수산물 533,035 톤이 수입 되었으며 2019년 동기 578,199 톤 대비 약 8% 감소 하였다. 7월말 누적 수입상위 10개국은 러시아, 중국, 노르웨이, 베트남, 미국, 칠레, 페루,아르헨티나,일본, 대만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7월 누적 전체 수입물량의 약 28% 를 러시아 에서, 약 25% 를 중국 에서 수입, 상기 2개국가에서, 전체 수입물량의 약 53% 를 차지하고 있다.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http://www.forsea.co.kr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 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 이용하고자 할 경우 반드시 “ 자료출처 : ㈜유니언포씨 웹사이트 http://www..
2020.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