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59

8월, 중국산 수산물 수입동향 2011년 8월 중 중국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24,523톤으로 전년동기 20,112톤 대비 약 21%가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 또한 약 USD 7,746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6,433만 달러 대비 약 20%가 상승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2011년 1월부터 8월 말까지 중국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230,006톤으로 전년동기 202,.. 2011. 9. 19.
냉동 고등어 월간 수입동향 2011년 8월 중 냉동 고등어의 수입물량은 약 547톤으로 전년동기 수입물량인 2,126톤에 비해 약 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입금액 또한 약 USD 123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231만 달러와 비교하여 약 4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8월의 평균 수입단가는 키로당 USD 2.26 달러에 형성되었다. 2011년 1월부터 8월.. 2011. 9. 16.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보건복지부령 제73호(공포 및 시행 2011.08.19)에 따른 식품위생법 시행규칙을 일부 개정하였음. ▶ 주요내용 1. 수산물 위생약정 체결 국가에 대한 검사증명서 첨부 의무화 2. “동일사 ∙ 동일식품등”의 정의 개정 (수입자 삭제) ○ 현행 : 수입자 ∙ 생산국 ∙ 품명 ∙ 수출업자 및 .. 2011. 9. 15.
대만산 수산물 수입량 증가세 2011년 7월 중 대만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1,003톤으로 전년동기 823톤 대비 약 21%가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 또한 USD 502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313만 달러 대비 약 60%가 상승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2011년 1월부터 7월 말까지 대만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14,665톤으로 전년동기 14,641톤 대비 .. 2011. 9. 14.
말레이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증가세 2011년 7월 중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1,106톤으로 전년동기 800톤 대비 약 38%가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 또한 USD 583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330만 달러 대비 약 76%가 상승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2011년 1월부터 7월 말까지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6,459톤으로 전년동기 5,210.. 2011. 9. 8.
냉동 낙지 7월중 수입동향 2011년 7월 냉동 낙지의 수입물량은 약 3,351톤이며 전년동기 수입물량인 2,989톤에 비해 약 12%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입금액은 약 USD 1,584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1,056만 달러와 비교하여 약 4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월의 평균 수입단가는 키로당 USD 4.72 달러에 형성되었다. 2011년 1월부터 7월 .. 2011. 9. 7.
태국산 수산물 수입누계량 감소세 2011년 7월 중 태국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1,565톤으로 전년동기 1,119톤 대비 약 39%가 증가하였고, 수입금액은 약 USD 910만 달러로 전년동기 약 USD 472만 달러 대비 약 92%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1월에서 7월 말까지 태국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8,888톤으로 전년동기 9,574톤 대비 약 7%가.. 2011. 9. 6.
7월, 국가별 수산물 부적합 현황 2011년 7월까지 수산물 수입국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을 포함한 79개국(전년동기 80개국)으로 수입한 부적합 검사량(1,548톤)이 전체 수입검사량(564,431톤)의 약 0.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통계되었으며 전년동기 1,014톤 대비 약 52.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합 검사량이 증가한 국가는 중국, .. 2011. 9. 5.
어종별 월간 수산물 부적합 현황 2011년 7월 말까지 부적합 건수는 총 166건으로 전년동기 169건에 비해 약 1.7%가 감소하였으며, 부적합 물량으로는 전년동기 1,155톤에서 약 45% 증가한 1,676톤에 달했으며 수입금액으로는 전년동기 금액인 USD 531만 달러에 비해 약 67% 상승한 891만 달러로 통계되었다. 품목별 부적합은 냉동품 135건으로 전체 .. 2011. 9. 2.
7월, 어종별 수입검사 동향 2011년 7월까지 국내로 수입된 수산물의 주요 원산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베트남 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기간 동안 전체 수입검사 실적은 총 564,431톤에 달하여 전년동기 실적인 549,201톤 대비 약 2.7%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2011년 7월 말까지 총 736개의 품종의 수산물이 수입되었으며, 가.. 2011. 9. 1.
7월 국가별 수산물 수입검사 동향 2011년 7월 말까지 수산물 수입국가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을 포함한 79개국으로 중국, 러시아, 일본, 베트남, 미국, 노르웨이 등 상위 10개국에 수입한 수산물 검사량이 499,223톤으로 전체 수입 수산물 검사량인 564,431톤의 약 8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물량이 증가한 국가는 중국, 러시아, 베트.. 2011. 8. 31.
7월, 칠레산 수산물 수입동향 2011년 7월 중 칠레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4,075톤으로 전년동기 1,562톤 대비 약 160%가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 또한 약 USD 1,144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341만 달러 대비 약 235%가 상승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2011년 1월부터 7월 말까지 칠레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22,625톤으로 전년동기 5,976.. 2011. 8. 30.
7월, 냉동 참조기 수입동향 2011년 7월 중 냉동 참조기의 수입물량은 약 800톤에 이르러 전년동기 수입물량인 1,373톤에 비해 약 41%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입금액 또한 약 USD 377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485만 달러와 비교하여 약 2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월의 평균 수입단가는 키로당 USD 4.71 달러에 형성되었다. 2011년 1월.. 2011. 8. 29.
7월, 냉동 꽃게 수입량 감소세 2011년 7월 냉동 꽃게의 수입물량은 약 19톤으로 전년동기 수입물량인 134톤에 비해 약 85%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입금액 또한 약 USD 5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33만 달러와 비교하여 약 8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월의 평균 수입단가는 키로당 USD 2.84 달러에 형성되었다. 2011년 1월부터 7월 말까지.. 2011. 8. 26.
7월,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동향 2011년 7월 러시아에서 국내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10,499톤으로 전년동기 7,371톤 대비 약 42%가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 또한 USD 3,123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1,917만 달러 대비 약 62%가 상승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2011년 1월부터 7월 말까지 러시아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136,148톤으로 전년동기 131,.. 2011. 8. 24.
7월, 냉동 주꾸미 수입량 상승세 2011년 7월 중 냉동 주꾸미 수입물량은 2,378톤에 이르러 전년동기 수입물량인 1,723톤에 비해 약 38% 이상 증가하였고, 수입금액 또한 약 USD 1,057만 달러로 전년동기 약 USD 467만 달러와 비교하여 약 126%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월의 평균 수입단가는 키로당 USD 4.44 달러에 형성되었다. 2011년 1월부터 7.. 2011. 8. 23.
7월 냉동 흰다리새우 수입동향 2011년 7월 중 냉동 흰다리새우의 수입물량은 약 1,178톤에 이르러 전년동기 수입물량인 877톤에 비해 약 34%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입금액 또한 약 USD 672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411만 달러와 비교하여 약 6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월의 평균 수입단가는 키로당 USD 5.70 달러에 형성되었다. 2011년 .. 2011. 8. 19.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동향 2011년 7월 중 베트남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5,151톤으로 전년동기 4,312톤 대비 약 19%가 증가하였고, 수입 금액 또한 약 USD 2,675만 달러로 전년 동기 USD 1,845만 달러 대비 약 44%가 상승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2011년 1월부터 7월 말까지 베트남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30,505톤으로 전년 동기 29,658.. 2011.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