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74 경남 남해안, 적조피해 대비 비상준비 사상최대의 피해를 입었던 2013년 남해 및 동해안 적조로 인해 2014년은 미리부터 적조에 대비하는 지자체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으며 그 이유로는 올해 남해안의 수온이 평년보다 2℃가 높게 측정, 수온이 높은만큼 적조가 7월초쯤 일찍 올 것이라고 전망하기 때문이다. 2013년 남해안의 적.. 2014. 5. 21. 태국산 수산물 4월 중 수입량 43% 감소 2009년 4월 중 태국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908톤으로 전년동기 1,601톤 대비 약 43%가 감소하였고, 수입금액은 USD 4,267,000달러로 전년동기 USD 6,621,000달러 대비 약 36%가 하락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올해 1월부터 4월 말까지 태국에서 수입된 수산물 전체물량은 4,532 톤으로 전년동기 6,804톤 대비 약 33%가 .. 2009. 5. 16. 2009년 3월 주꾸미 수입동향 2009년 3월 중 냉동주꾸미의 수입 물량은 1,756톤에 이르렀으며, 전년동기 수입 물량인 1,134톤에 비해 약 55%가 증가한 상태이다. 수입 금액면에서는 전년동기 USD 2,766,000달러 대비 약 55%가 상승하여 USD 4,283,000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월 평균 수입단가는 USD 2.44/kg에 형성되었다. 올해 1월부터 3월 .. 2009. 4. 21. 2009년도 수산물 조정관세 품목 안내 2009년부터 활돔, 활농어, 활민어, 새우젓 등 4개 품목 조정관세 인하적용 농림수산식품부는 2009년에는 활돔, 활농어 등 일부 수산물에 적용될 조정관세를 2%∼4%포인트 인하키로 했다고 지난 12월 29일 밝혔다. 따라서 활돔(36%→34%), 활농어(38%→34%), 활민어(36%→34%), 새우젓(46%→42%) 등 4개 품목은 내년부터.. 2008. 12. 31. 명란 수입물량 26% 감소 2008년 1월부터 9월 말까지 국내로 수입된 명란의 물량은 3,579톤이며 수입금액은 USD 2,624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물량면에서 26% 감소, 금액면에서 3% 감소한 수치이다. 국내로 수입된 명란의 주요 원산지는 러시아와 미국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국가로부터 알래스.. 2008. 11. 12. 8월중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동향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의 통계에 따르면 2008년 8월 중 국내로 수입된 베트남 산 수산물의 물량은 약 5,678톤에 달하였고, 수입금액은 USD 268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수입물량 중 가장 많은 물량을 차지한 5가지 품목은 냉동 갑오징어, 냉동 낙지, 냉동 홍다리얼룩새우(살), 냉동 흰다리새우.. 2008. 9. 4. 수산물 검사기준 변경안내 최근 식약청은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관한 고시를 개정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에 따르면 2008년 11월 1일부터 의약품의 잔류 허용기준이 5종 신설된다고 한다. 이는 노플록사신, 오플록사신, 페플록사신, 리코마이신, 폴리스틴 등으로 어류와 갑각류를 대상으로 검역에 들어가게 .. 2008. 8. 21. 2008년 7월 중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동향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의 통계에 따르면 2008년 1월에서 7월 말까지 국내로 수입된 베트남산 수산물의 수입 물량이 27,794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27,496톤에 비해 약 1% 증가한 수치이다. 전체 수입금액은 USD 11만 3천달러로 전년동기 USD 9만 5천달러에 비해 19% 증가하였다. 올해 수입된 .. 2008. 8. 15. 6월 중 냉동 꽁치 수입량 대폭증가 2008년 6월 중 냉동 꽁치의 수입 물량은 588 톤, 수입 금액은USD 69만7,000달러, 6월 평균 수입 단가는 USD 1.18/kg로 나타났으며, 전년 동월와 비교하여 수입 물량은 전년의 62톤과 비교하여 약 848% 대폭 증가하였으며 수입 금액은 전년 동월의 USD 2만 7,000달러와 비교하여 약 2,481%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 2008. 7. 29. 수입 잠정 중단된 중국소재 등록업체 국립수산물 품질검사원에서는 최근 수입된 중국산 수산물에 대한 검사결과 부적합이 발생한 것과 관련하여 해양수산부로부터 원인규명 및 문제해결시까지 해당제품을 생산한 중국 등록시설에 대해서는 2007년 12월 06일 선적분부터 별도 수입 중단 조치 해제를 통보할 때까지 수입을 잠정적으로 중단.. 2007. 11. 28. 부적합 발생에 따른 수입잠정 중단 중국 업체 국립수산물 품질검사원에서는 최근 수입된 중국산 수산물에 대한 검사결과 부적합이 발생한 것과 관련하여 해양수산부로부터 원인규명 및 문제해결시까지 해당제품을 생산한 중국 등록시설에 대해서는 2007년 11월 07일 선적분부터 별도 수입 중단 조치 해제를 통보할 때까지 수입을 잠정적으로 중단.. 2007. 11. 1. 러시아 수출수산물에 대한 사전계도 사항 국립수산물품질 검사원 부산지원에서 수산물 수출업체에 발송한 문서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동식물위생감독청은 저품질(Low Quality) 수산물의 근절을 위하여 러시아 정부가 승인하지 않은 한국의 가공공장에서 러시아로의 수입을 2007년 6월 1일부터 금지한다고 밝혔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금후 러시.. 2007. 6. 2. 칠레, 연어 수출 현황 2006년 9월 칠레의 연어(Atlantic salmon) 수출량은 8,289톤으로 전년 동기비교 16%가 증가하였고, 수출금액(FOB)은 24% 상승한 5,702만 달러로 나타났다. 2006년 1월-9월까지 총 수출량은 85,149톤, 금액으로는 5억 2,086만 달러로 물량 면에서는 11%가 감소하였고, 금액 면에서는 36%가 상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요 수출.. 2006. 11. 22. 동남아시아 국가, 주요 새우 공급국으로 부상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여전히 새우 주요 공급국으로 입지를 굳히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적으로 새우 수요가 높은 미국 시장으로 2006년 8월 달 동안 태국산 새우 약 10만 8,700톤이 수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도네시아, 베트남, 중국산 새우가 수출된 것.. 2006. 11. 9. 주간 중국 수산관련 소식 1. 중국 장어 수입량 대폭 증가 중국 수산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6년 중국으로 수입된 일본산 어린 장어의 반입량은 약 60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5년 같은 기간 23.3톤이 수입된 것과 비교해 볼 때 약 2.5배 이상 대폭 증가한 것이다. 한편, 귀주(貴州)산 어린 장어의 조업량은 약 42톤(2005년.. 2006. 11. 9. 대구/명태의 현지 조업현황 10월 둘째 주 베링해 알류산 열도에서 미국 조업 선박에 의한 대구의 조업량은 1,690톤, 명태(Alaskan pollock)의 조업량은 22,289톤으로 나타났다. 한편, 알래스카만에서의 대구 조업량은 262톤, 명태 조업량은 940톤으로 전해졌다. 2006년 1월 1일부터 10월 14일까지 베링해와 알래스카만의 총 대구 조업량은 96,956.. 2006. 11. 8. 태국산 수산물 부적합에 따른 조치통보 최근 태국산 수입수산물의 부적합 발생과 관련하여 해당제품을 생산한 태국등록공장(등록번호 : 1123, Gallant Ocean(Thailand)Co., Ltd)에 대하여서는 2006년 11월 5일 선적분부터 해당업체에 대한 수입이 잠정적으로 중단되었으니 이를 참조하시어 같은 사례가 발생되지 않도록 수입업체는 주의가 요망된다. 참.. 2006. 10. 30. 수산물 검사 강화되어야 될 듯.... 중국산 냉동 수산물의 약 20%가 물먹인 제품이라는 기사가 보도 되었다. 무게를 늘이기 위하여 중량을 속인 것도 문제이지만 사용된 물의 안전성 여부도 문제라고 한다. 보도에 의하면 새우을 포함한 중국산 냉동 수산물 6종류의 실제 중량을 조사한 결과 제품에 표시된 중량보다 평균 18%가 적게 나온.. 2006. 10. 18. 이전 1 2 3 4 5 다음